지자체간의 오폐수처리문제에 따른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이번에는 상수도 취수량문제로 인천시와 구리시가 갈등을 겪고 있다. 상수도 공급의 근원이 되는 취수장보호는 시민건강과 직결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도시민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맑고 깨끗한 상수도를 공급해 주어야한다. 상수원의 오염을 방지하지 못할 경우 시민건강악화는 물론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된다. 중앙담당부서인 환경부와 두지자체가 하루속히 협의체를 구성하여 문제의 근원을 찾아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하다.
인천시 취수량의 46%를 담당하는 풍납취수장 상류에 위치한 구리시가 대형 건설 사업을 관철시키고 있어 식수원 오염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다. 구리시의 월드디자인시티(GWDC)사업은 상수원보호를 위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92%의 지역(172만1천㎡)을 해제하여 디자인센터, 운하, 대단위 주·상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문제의 발단이 되고 있다.
구리시의 사업 예정지 하류 8.7㎞ 지점에 풍납취수장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친수구역 지정사업의 피해는 인천시민들이 받게 된다. 경인지역 시민사회단체의 GWDC개발 전면백지화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난 5월 GWDC 체결동의안을 구리시의회는 가결했으며 신임 시장이 내년 말 착공을 발표했다.
이 문제는 지역이기주의의 시각을 떠나 근본적으로 국민의 생존권과 관련되는 문제로 심도 있게 검토하여야 할 일이다. 중앙정부는 취수원보호를 위한 문제발생을 막기 위해서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서는 절대로 안 됨을 인식하기 바란다.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할 경우 인천시민을 비롯한 2천500만 수도권 인구가 식수의 위협을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경인지역 시민사회단체는 환경부, 국토부는 4대강 사업의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제정된 ‘친수구역지정제도’를 역할용해 환경오염을 차단하는 개발제한 구역마저 포기해서는 문제가 심각하다며 반대운동에 나섰다.
구리시는 이들의 요구를 비롯한 수많은 이용시민들을 고려하여 취수원 오염방지저해 사업을 결코 추진해서는 안 될 일이다. 수질 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풍납취수장 식수원 보호를 위한 사업 중지와 전면 재검토는 마땅하다. 인천시와 구리시는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한 합리적인 정책방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방안을 강구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