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은 영원하다(The sadness will last forever)'. 우울증을 앓아온 빈센트 반 고흐가 스스로 가슴에 총을 쏜 이틀후 동생 테오 곁에서 숨을 거두면서 마지막으로 한 말이다. 37세로 생을 마감한 고흐는 죽기 2년전엔 자신의 귀를 자르는등 충격행동을 하기도 했고 정신병원에 입원도 했었다.
비극적일 정도로 짧은 생애였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미술가 중 한명인 고흐 처럼 인생의 고뇌 속에 우울증의 큰 고통을 안고 살았던 천재 예술가들은 많다. 슈베르트, 말러, 버지니아 울프, 헤밍웨이, 헤르만 헤세, 휘트먼, 에드거 앨런 포, 마크 트웨인 등등. 이들은 한 시대를 풍미했으면서도 우울증과의 질긴 인연으로 괴로워 했다. 물론 그들중 대부분은 이같은 우울증을 극복, 또 다른 예술적 영혼을 불태워 인류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기도 했다.
우울증이 심해지면 사고 흐름의 장애, 행동장애, 판단력 장애, 사회 대처능력의 감소, 집중력의 감소와 아울러 자살을 시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우울증 환자 5명 중 4명은 자살을 생각하며 6명 중 1명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도 우울증을 앓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충격적인 자살로서 생을 마감한 경우를 너무나 많이 본다.
우울증에 대한 설명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있었다. 히포크라테스는 “슬픔(sorrow)이 지속된다면 그때는 우울증(melancholia)이다”라고 했다. 그리고 그는 천재나 뛰어난 인물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병이라 설명했다. ‘멜랑콜리’는 곧 ‘우울증’이라는 등식은 18세기까지 계속 이어졌다.
요즘 정신 의학계에선 우울증은 과도한 슬픔이라기보다는 즐거움이 결핍된 심리 상태라고 정의 하기도 한다. 즉 우울증은 ‘슬픈 상황에서 슬픔을 더 많이 느끼는 것이 아니라, 좋은 일을 즐겁게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우울증의 진단 기준을 ‘우울한 기분’, ‘흥미나 쾌락의 상실‘ 등으로 삼기도 한다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가 10년새 77%나 증가했고 이중 절반이상이 자살을 생각해본적이 있다는 최근 보도다. 경험자도 전체인구의 27%에 달하며 사회적비용도 10조4천억원으로 암 다음이라고 한다. 그야말로 ‘멜랑콜리 대한민국’이다. 무엇이 국민들을 상실의 시대에 가두고 있는지. 우울증을 앓는 것처럼 답답하다.
/정준성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