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에서 전국 17개 시도교육감들이 첫 회동을 갖는다. 이날 첫 임시총회에서는 협의회장을 선출하고 여러 가지 교육 현안들에 대해 논의를 벌일 예정이다. 진보 교육감들의 대거 당선으로 교육부와의 갈등도 우려되고 있는 마당이다. 그래서 많은 국민들이 회의를 주목하는 이유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전교조 전임자의 복귀 문제와 진보교육감들의 핵심 공약이었던 자사고 축소·폐지가 주요 의제로 논의될 전망이다. 어떤 결과가 도출될지는 모르지만 그 내용에 따라 자칫 교육계의 혼란과 갈등을 배제할 수 없다.
교육감협의회가 어떤 결정에 대해 구속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진보성향의 교육감이 대다수인 상황이어서 교육부 또는 학교 학부모들과의 마찰이 일정 부분 불가피할지도 모른다. 서울 지역 25개 자사고 교장들로 구성된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는 21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자사고 폐지 방침에 반발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조 교육감이 새롭게 도입한 기준으로 평가해 재지정을 취소할 경우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즉각 자율형사립고 폐지 정책의 하나로 자사고의 학생 면접 선발권을 박탈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벌써부터 충돌이 불가피하다.
전교조 문제도 그렇다. 취임과 동시에 이념 다툼에 나선다는 비판을 의식해 직접적으로 이 문제에 개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전교조 출신 교육감이 8명이나 되는 상황에서 23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이후에는 공동 대응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이 과정에서 복귀를 거부한 전교조 전임자나 이들에 대한 징계를 거부한 교육감들을 교육부가 고소 고발하는 일마저 우려된다. 각 시 교육청의 정책도 마찬가지다.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9시 등교, 자율학습 및 벌점 폐지 등 의 문제로 찬반논란이 가열되고 있어 이같은 쟁점들이 논의될지도 모른다.
단체장이나 CEO가 바뀌면 모든 정책들이 새롭게 변화하는 게 당연한 수순이다. 교육분야도 예외일 수 없다. 그러나 흔히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들 말한다. 정책의 효과가 단 기간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다. 그래서 교육은 개혁보다는 교육개선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는 얘기도 있다.
교육정책이 급격하게 변화하면 그 피해는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고스란히 돌아온다. 교육감협의회는 이같은 여러 가지 상황을 감안하여 교육의 본질을 그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방의 교육발전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