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안전수칙을 소홀히 하다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수칙 준수는 필수다.
특히 파도가 치는 바다나 갑작스러운 폭우로 물이 불어나 급류가 발생하는 계곡 등에서 안전요원의 주의나 경고 표지를 절대 무시해서는 안된다. 사람이 많이 붐비는 해수욕장이나 테마파크에서는 안전요원도 순간적으로 시선에서 놓칠 수 있기 때문에 나와 내 가족의 안전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실제로 소방방재청이 최근 3년간 발생한 물놀이 사고는 7월 하순에서 8월 중순에 집중돼 있고, 2011년 52명, 2012년 25명 2013년 37명 등 3년간 총 114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그중 80명(70.2%)가 이 기간 동안 사고를 당했다.
이런 물놀이 사고는 입수가 금지되거나 수심이 깊은 곳에는 자기 수영 실력만 믿고 입수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배를 타거나 수상레포츠 등을 할 때는 꼭 구명조끼 착용은 필수다.
또 입수전에는 준비운동과 수온에 몸을 적응시켜야 하고 너무 뜨거운 낮 시간에는 일사병 위험이 있어 그늘에서 쉬는 것이 좋다.
음주 후엔 알코올 성분으로 몸이 생각대로 움직이지 않아 사고위험성은 그만큼 높다. 튜브 등을 믿고 깊은 곳 입수는 금지하고 수영 중 ‘살려 달라’고 장난치거나 허우적거리는 행동은 안전요원의 시선을 빼앗아 다른 곳에 집중할 수 없기에 절대 금지해야 한다.
어린이 물놀이 사고는 잠시 소홀한 틈 순간 발생할 수 있기에 구명조끼를 반듯이 착용하고 물놀이 중 껌이나 사탕 같은 군것질은 위급 시, 기도를 막히게 할 수 있기에 금지해야 한다. 아이들의 물놀이 안전수칙에 대해 어른들은 항상 주시하고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아 놓거나 알아놓으면 위급할 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모든 사고는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셋째도 안전! 이번 여름 물놀이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 즐겁고 행복한 여름나기 휴가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