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과 문화에 따라 전통과 풍속이 다르듯 각 나라의 인사예법도 각양 각색이다. 우리의 전통은 절(拜)과 읍(揖)이다. 유럽 대부분 국가에선 포옹과 볼 키스가 기본이다. 인도와 태국등 동남아 국가들은 두손을 공손히 모으는 와이(Wai·합장)가 보편화 되어있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과 폴리네시안인은 코를 서로 비벼대는가 하면 에스키모족은 반갑다는 뜻으로 서로 뺨을 친다. 티베트인은 친근감의 표시로 귀를 잡아당기고 혓바닥을 내민다. 아프리카의 마사이 부족은 황당하게도 침을 뱉는다고 한다.

이처럼 세계인의 인사법은 특이하다. 하지만 나라와 문화를 초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적인 인사법이 있다. 바로 ‘악수’다. 악수는 고대 로마에서 부터 전해진 오래된 인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보다 훨씬후인 중세 잉글랜드라는 설도 있다. 일부 사회학자들은 ‘손에 무기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는 사례를 들어 중세이후 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악수는 보편화된 인사법이지만 일정한 규칙이 있다. 이는 기본 매너로 통하기도 하는데 ‘연장자가 먼저 악수를 청한다’거나 ‘남성 쪽에서 여성에게 먼저 손을 내밀지 않는다’ 혹은 ‘남성은 장갑을 벗어야 하나 여성은 안 벗어도 된다’는 등등의 예절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절대 지켜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예절이 악수이기 때문이다. 정중하게 손을 맞잡는 인사예의, 악수가 갖는 간편 등이 동서양의 문화 차이나 남녀노소 간의 벽도 넘어서게 해주어서 더욱 그렇다.

악수는 때론 남자끼리 결의를 다지는 데도 쓰인다. 존중의 의미와 성공의 기원. 격려 축하 위로 등등 힘주어서 나누는 악수속에 담겨진 의미와 뜻 또한 무궁무진하다. 어느땐 백 마디의 말보다 더 큰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노무현 정부시절 북한을 방문한 김장수 국방장관의 악수 모습도 그중 하나다. 당시말 한마디 안한 그에게 국민들은 ‘꼿꼿장수’라는 별명까지 지어 주었으니 말이다.

최근 이런 악수가 질병을 옮긴다는 미국 의학협회저널(JAMA)의 권고안이 나왔다. 비록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하는 악수를 언급한 것이지만, 해서 그런가 요즘 일반 악수하는 것이 찜찜하다는 사람도 많다. 각종 세균감염 소식이 빈번한 여름철이라 그런가?

/정준성 논설실장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