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중국의 聖王이었던 湯이라는 임금은 자기가 사용하는 세숫대야에 위의 내용을 적어 놓고 좌우명으로 사용했다고 서경에 적혀 있다. 그는 단순히 세수나 몸만을 씻지 않고 마음도 날마다 새롭게 닦으려는 뜻이었다.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이란 존재에 대해 늘 끼게 되는 세속의 때를 볏겨내고자 했으며 끝까지 순결함을 지키려한 것이다.
사람들은 매일 몸을 씻고 청결하려고 애쓴다. 자기에게는 세심할 정도로 신경을 쓴다. 하지만 마음을 가꾸고 청순한 생각을 유지하면서 자기 수양을 닦는 데는 게으르다. 사람은 지위가 높건 아니건 간에 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병이 나타나고 늙어 간다. 젊었을 때보다 더 반듯하고 곱고 아름답게 늙어가기 위해서라도 日日新又日新해야 한다 『계노록』이라는 책에는 ‘노인이라는 것은 지위나 어떤 자격도 아니다 설사 가족끼리라도 아무렇게 말해도 좋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한가하게 시간이 있다고 해서 타인의 생활에 참견해서도 안 되고 남이 해주는 것을 당연 시 해도 안 된다. 무슨 일이든 스스로 해결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자기가 옳다고 하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죽은 뒤의 일도 걱정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등... 일생에 있어서 항상 새롭고 새로운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다보면 세상을 마칠 때까지 늘 새롭게 살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