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조합원 가운데 금융채무 불이행자(신용불량자)가 연간 3만명을 넘고 연체액만 3조51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농협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일고 있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새누리당 이이재 의원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2012~2014년) 간 농업인(조합원) 고액연체자, 신용불량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농협 상호금융 거래자 가운데 연간 3만명 가까운 조합원이 신용불량자로 전락했다.
연도별 농협 조합원 신불자는 2012년 2만9천23명, 2013년 2만7천194명이었고, 올 들어서도 지난 6월 말 현재 1만4천775명으로 집계됐다.
또 신용불량 등록건수는 2012년 6만3천407건에서 2013년 6만184건으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등록금액은 2012년 2조8천690억원에서 2013년 3조517억원으로 오히려 6.4% 증가했다.
1인당 평균 계좌는 2012년 2.18계좌로, 1인당 평균금액은 9천885만원에서 2013년 2.21계좌로 늘었으며 평균금액도 1억1천222만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5억원 이상 고액연체자는 2012년 475명(5천492억원)에서 2013년 483명(5천352억원), 올 6월말 기준으로는 621명(6천930억)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등 예후도 좋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전체 신불자 가운데 경기지역이 4천940명(18.2%)으로 가장 많았다.
이 의원은 “농협은 조합원 신불자가 큰 규모로 나오고 있는데도 원인분석은 물론 대책조차 세우지 않고 있다”며 “조합원 신불자 양산은 곧 해당 농업과 농업인의 파산을 가져올 뿐 아니라 일선 농축협의 연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농협 관계자는 “농업인뿐아니라 경제전반이 어려운 상황에서 신용불량자가 늘어나는 추세는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농업인의 신용불량상태를 막기 위해 2011년부터 상호금융최초로 채무재조정제도를 도입해 지금까지 총 4천276건, 1조6천136억의 이자를 납부 유예하거나 감면해줬다”고 밝혔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