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처음으로 1천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가 5분기 연속 증가세속에 사상 최대치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분기 중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1천40조원으로 3개월 전보다 15조1천억원(1.5%) 증가했다.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인 가계신용은 예금취급기관은 물론 보험사·연기금·대부사업자·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카드사의 판매신용까지 포함한다.
가계신용은 작년 1분기 중 9천억원 가량 줄었으나 2분기 16조7천억원 증가한 데 이어 3분기 14조원, 4분기 27조7천억원, 올해 1분기 3조5천억원 늘어나면서 1년3개월째 사상 최대 행진 중이다.
올해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982조5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4조8천억원(1.5%) 늘었고, 판매신용은 57조5천억원으로 3천억원(0.6%) 증가했다.
1분기에 주춤하던 가계부채 증가 폭이 확대된 것은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이 확대됐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특히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은 1분기 1천억원에서 2분기 8조3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실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분기 338조3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7조4천억원 늘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 폭이 1분기 3조2천억원에서 2분기 6조4천억원으로 두배 확대된 것도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분기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0% 늘었지만 이자율이 은행권보다 높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은 10.0%, 기타금융기관은 6.7% 증가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완화로 3분기에는 가계부채 증가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가계소득 증가 속도에 맞춰 가계부채 증가세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