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 있는 국토개발과 통일대비에 따른 준비라는 차원에서도 그동안 개발이 소홀했던 경기도북부지역에 대한 개발의 활성화전략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로 볼때 경기도가 오는 2018년까지 북부지역 활성화에 필요한 13개 기관을 이전하거나 유치하기로 한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따라서 사회간접자본시설의 확충과 기관의 진출 계획이 적극 실천돼어야 한다. 경기도는 도로예산의 54%를 북부에 투입하고 2018년까지 투자율을 60%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이외에 지역 균형발전사업 예산은 올해 10개 사업 188억 원에서 내년에는 25개 사업 496억 원으로 308억 원 더 증액 했고 접경지 개발사업도 38개 사업에 357억 원 규모로 올해보다 2개 사업에 39억 원이 증액되었다. 특히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북부지역에 반드시 필요한 기관을 설립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북부지역개발은 기관유치와 더불어 청경한 과학도시 건설을 추구해 가야 할 것이다.
이전기관은 올해 1개소, 내년에는 2개소를 비롯해 오는 2018년까지 나머지 10개소를 이전하게 된다. 올해에는 지난 10월 도 본청 소속 경제실이 북부청사로 이전을 완료했으며, 내년에는 경기문화재단과 경기개발연구원 분원을 북부에 설치해 운영한다.
이전기관 직원가족들이 현지에서 생활해 갈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현실적인 여건마련에도 철저히 준비 하기 바란다.
미래의 비전을 향한 생동감 넘치는 북부도시건설에 도민들의 기대가 충만하기 때문이다. 또 2018년까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북부벤처센터를 비롯해 현재 국회 예결위에서 설계용역비가 심의 중인 폴리텍 대학 등을 유치 또는 개설해 기업과 기술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반을 북부지역에도 구축할 방침이다.
북부지역에 경기도민은행을 설립하게 되어 지역발전에 기대가 모아진다.
2016년 북부지역에 설립을 계획 중인 경기도민은행은 이윤추구 목적이 아닌 지역의 금융안전망 조성을 위해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낙후된 경기북부의 균형발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민·관협력은 물론 학계와 시민단체들도 중지를 모아가야 한다. 탄소산업을 비롯한 청정산업유치 계획을 수립해 적극적으로 추진해가야 된다.
새로운 서해안시대와 남북협력시대를 선도해 갈 수 있는 선진기업의 유치에도 더욱 힘써가야 할 것이다.
한반도의 중심인 북부지역의 자연여건을 활용한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