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통일대박을 세계 만방에 외치면서 지혜로운 국민의 총의가 방안을 제시해가고 있다. 61년의 오랜 분단의 아픔을 치유하고 평화의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비무장지대(DMZ)에 세계생태평화공원조성이 조속히 추진되어야한다.
남북간 갈등을 완화하고 한반도를 평화지역으로 전환시켜갈 수 있는 공간기능을 다해야한다. 앞으로 DMZ가 세계평화협력의 실체적 연결고리로 역할수행이 가능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일연구원 비무장지대 세계생태평화공원 포럼 발표에서 DMZ생태공원은 통일과 국가발전 전략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원이 분쟁과 갈등 해소를 위한 한국적 모델이 될 것을 주장한다. DMZ 전역을 벨트화해서 아시아 평화협력의 거점으로 조성할 때에 진정한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를 키워갈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유라시아의 생태·평화 이니셔티브를 구현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공원 조성 방향의 기본축으로 DMZ 생태원(가칭)과 세계평화센터를 제안하고 있다. 이들 중심공간을 자료관리, 학술연구, 전시를 합한 체류형 공간으로 조성해야 할 것을 강조한다. 경기개발연구원 통일문제연구원도 공원을 매개로 하는 남북 협력을 통해 평화적 교류의 계기를 만드는 것이 핵심 과제라며 중장기적으로는 DMZ 전체를 생태·평화 벨트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강원발전연구원 한국DMZ연구센터장은 DMZ 접경 지역이 통일·평화의 상징지대이자 남북 경협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녹색기술센터 연구위원은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 기술, 조명용 LED·그린 IT 기술, 대체 수자원 확보 기술, 폐기물 저감 기술 등을 공원 조성에 적용할 수 있다고 한다.
경기도는 DMZ 일원의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유지·보전과 희귀조류 보호 방안논의를 수시로 마련해가야 한다. 도·시·군 관계 공무원들이 각 분과에서 논의한 내용을 각 지자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도정을 강화시켜 가야한다. 경기도 DMZ 포럼은 문화관광, 지역개발, 생태환경분과 등 3개 분과위로 운영되고 있다.
DMZ 개발계획으로 제안되고 논의된 사항들은 보전과 이용을 위한 정책발굴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수립에 활용하여야 한다. DMZ 관련 생태공원조성을 위해서 환경 전문가, 시민운동가, 공무원을 비롯한 전 국민의 참여와 노력이 절실하다. 앞으로 DMZ의 세계생태공원조성이 통일대박의 시금석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