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위엔춘 사건에 이어 온 국민을 경악케 한 박봉춘 사건이 일어나면서 수원과 화성 안산 등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경기도내 지역의 민심은 악화되고 있다. 차마 필설로 형용할 수 없을 만큼 잔인한 수법으로 인체를 훼손한 사건 이후 외국인노동자들을 모두 몰아내야 한다는 극단적인 소리도 나온다. 또 외국인 등록 지문날인제를 다시 부활하고, 불법 체류자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펼쳐야 한다는 등의 목소리가 높다. 조선족이라고도 불리는 중국동포 사회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인해 반중국동포 여론이 형성되자 크게 불안해하고 있다.
이번 사건과 함께 또 다시 국민들을 불안케 하는 것이 있다. 전국 30세 이하 여성 미귀가자들이 1천400여명이나 된다는 사실이 보도된 것이다. 경기도에도 240여명이 있다고 한다. 이들이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살아 있기나 한 것인지도 알 수 없다. 지난 10월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정용기(대전 대덕·새누리) 의원이 밝힌 바에 의하면 2009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전국 지방경찰청에 접수된 실종자는 약 22만명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18세 미만 남녀 미성년자가 14만명이다. 그런데 같은 기간 동안 경기도 경찰청에 접수된 실종자는 모두 5만3천462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으며 230여건은 지금까지도 미해결 상태라고 한다.
실종자 문제는 지난해에도 김민기 의원(용인 을·새정연)에 의해 제기됐다. 김 의원이 밝힌 바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성인 12만여명, 미성년자 10만4천210명이 실종이나 가출로 신고됐다고 한다. 미성년자는 하루 71명인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이 더 많았다. 미성년자는 29%, 성인은 23%가 여성이 더 많았다. 그래서 심각성이 더하다.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힘이 약한 여성들이 범죄의 표적으로 노출되기에 더 쉽기 때문이다.
사건이 터질 때마다 실종자들에 대한 집중 수색이 벌어지고 일부가 발견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곤 한다. 하지만 대다수는 여전히 실종상태다. 경찰이 늘 하소연하는 인력문제가 있긴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이번 박봉춘 사건에서도 위력을 발휘했듯이 행정기관과 정보를 공유하고 주민신고를 유도하는 한편 민관합동 수색팀을 구성해 실종자 찾기에 나설 필요가 있다. 우리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실종자들의 범죄피해다. 매년 증가하는 실종자들은 모두 어디에 있을까? 더 체계적인 실종자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