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는 예부터 세시명절로 여겨왔다. 조선시대에도 동지를 '다음 해가 열리는 날 즉 아세(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고 했다. 이런 동지는 드는 시기에 따라 별칭이 있다. 동지가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하순에 들면 노동지라 하는데 중동지와 노동지에는 팥죽을 쑤지만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는다. 그 까닭은 아이에게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팥죽을 먹었다는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등장한다. ‘익재집(益齋集)’에 동짓날은 흩어졌던 가족이 모여 팥으로 쑨 죽을 끓이고 채색 옷을 입고 부모님께 장수를 기원하며 술을 올리는 것을 큰 즐거움으로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경로사상의 일환으로 먹던 팥죽이 악귀를 물리치는 세시음식으로 언제 변했는지는 정확치 않다.

중국 세시기 가운데 가장 오래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동지팥죽의 유래가 있다. ‘요순시대 공공 씨(共工氏)에게 바보 아들이 하나 있었다. 그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 역질 귀신이 되었는데 생전에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짓날 팥죽을 쑤어 물리쳤다’는게 그 내용이다. 조선후기 풍속집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같은 내용이 그대로 기록 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조선초기부터 팥죽이 악귀를 예방하는 음식으로 쓰인 것을 유추해 볼수 있다.

동짓날 먹는 팥죽은 명절식으로 각별한 의미가 있다. 민속에서 붉은 색은 벽사의 기능이 있다고 여기는데, 동짓날 팥죽은 그 기능의 강도가 한층 더해진다 해서다. 또한 동지팥죽을 한 그릇을 먹으면 나이 한 살 먹는다는 통과의례 음식의 의미도 있다.

옛날 왕실에서는 동짓날에 새해 달력을 나누어주었다. 궁중에서는 관상감에서 만들어 올린 달력을 `동문지보(同文之寶)`란 어새(御璽)를 찍어서 모든 관원들에게 나누어주었고 관원들은 이를 다시 친지들에게 돌렸다. 이러한 풍속은 여름(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했다. 그 밖에 조선 시대의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풍습도 있었다. 오늘은 동지다. 어느새 한해를 보내는 길목, 동지를 맞이한 마음은 각양각색일지 모른다. 세월호 참사등 다사다난했던 해여서 더욱 그렇다. 오늘 하루 가족 또는 가까운 이들과 팥죽 한 그릇으로 서로를 위로하며 새해의 평안을 기원해보는 건 어떨까.

/정준성 논설실장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