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기신문 독자여러분 올해엔 부자가 되었다지요? 그리고 복도 많이 받으신다죠’. 새해 덕담은 그렇게 되라고 축원하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벌써 그렇게 되었으니 고맙다고 경하하는 것이라고 한다. 육당 최남선(崔南善)은 이를 언령관념(言靈觀念)이라 풀이했다. 다시말해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말 속에 어떤 신비한 힘이 배어 있다고 믿었고 '장래의 꿈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상대방을 치켜세우면 그 사람의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다.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과 함께 우리 사회에 덕담이 일반화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덕담의 역사는 신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출발은 임금과 신하가 새해 첫날 서로 하례하는 궁중의식이었다고 한다. 덕담은 최근에도 새해 인사를 받은 쪽에서는 상대방의 형편에 따라 노총각에게는 ‘올해는 장가갔다지.’라 하기도 하고, 시험을 치를 사람에게는 ‘올해 꼭 합격했다지.’사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올해는 더 많이 벌었다지.’ 하기도 한다. 과거형의 말을 통해 일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셈이다.

새해를 맞아 서로 복을 빌고 소원이 이뤄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축의를 표시하는 것인 만큼 문구도 다양하다. 과거 덕담 내용은 ‘올해에는 아들을 낳으신다죠’ ‘올해에는 승진하신다죠’‘올해에는 돈을 많이 버신다죠’‘올해에는 며느리를 맞게 되신다죠’ 등과 같이 자식을 얻는 것(생자ㆍ生子), 관직에 오르는 것(득관ㆍ得官), 돈을 버는 것(치부ㆍ致富) 등이 주류를 이뤘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건강’이 으뜸 화두로 자리 잡았고 반대로 금기(?) 덕담도 여럿 생겨났다. 그중 결혼과 취직, 시험에 관한 덕담은 오래 전부터 기피 1호로 자리 잡고 있다. 덕담이라고 한 말이 세태와 맛물려 오히려 상대방에게 마음의 상처가 되는 경우가 많아서다.

덕담은 말을 할 때도 그렇지만 들을 때 더욱 기분좋다. 상처를 치료하는 영약이 되고 사랑을 일구는 묘약이 되는 것 또한 덕담이다. 비록 형식적이고 의례적이라 해도 정겨운 덕담 한마디는 마음을 훈훈하게 데워준다. 어른들로부터 듣는 덕담 한마디는 한 해 동안 가슴에 새기고 다니는 금언이었고 한 가정의 좌표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덕담은 서로 공경하는 뜻으로 예를 갖추는 인사와는 구별된다. 을미년 새해 마음에서 우러나는 덕담 한마디 훈훈하게 나누며 행복한 1년을 기약해보자.

/정준성 논설실장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