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7일 이상일 국회의원(새누리당 용인을)은 문화체육관광부에 ‘용인종합운동장과 용인실내체육관 시설보수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용인시에 우선적으로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문체부는 용인종합운동장과 실내체육관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체육진흥투표권 수익금 11억5천만원이 확보됐다. 그런데 용인시는 지난 2011년부터 3만7천155석을 갖춘 국제규격의 주경기장을 포함한 종합운동장을 처인구 삼가동 시청 인근 22만7천㎡ 부지에 짓고 있다. 원래 총 5천85억원을 투입해 주경기장 등 1단계 종합운동장 건립(3천220억원), 체육·레저시설을 갖춘 2단계 공사(1천865억원)를 지난 연말까지 실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재정난으로 2단계 공사는 무기 연기됐다. 재정난으로 1단계 종합운동장 건립예산도 3천220억원에서 2천800억원으로 줄이고 주경기장만 2017년 말까지 완공키로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럴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보조경기장과 옥외주차장을 짓지 않고 주경기장만 덜렁 세워놓을 경우 동네 운동장 역할 밖에 못해 국제경기를 치르기가 힘들어진다. 국제경기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보조경기장이나 옥외주차장 등 부대시설이 필수 요소인 것이다.
참 어이가 없다. 고작 시민체육대회나 치르기 위해 가뜩이나 어려운 형편에 건축을 하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일부 인사들은 관중 수용인원을 1만석 규모로 축소해 건립하라고 요구하기도 한 모양이다. ‘보조경기장 없는 주경기장은 무용지물’이라면서. 그러나 시의 입장은 ‘공사를 중단할 경우 손실이 너무 커서 멈출 수 없다’는 것이다. 연합뉴스에 의하면 이미 일곱번이나 계약이 변경된 탓에 공기가 연장돼 추가비용으로 연간 36억원을 지불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등에 연간 10억원 내외의 많은 비용이 투입될 전망이란다.
정찬민시장의 잘못을 탓하자는 게 아니다. 그는 전임자들의 잘못된 행정으로 인해 수습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실제로 정 시장은 지난해 7월말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임기 내 부채를 전액 상환해 ‘채무도시’의 오명을 벗겠다”고 밝혔다. 또 과거 ‘난개발’의 상징이란 오명에서도 벗어나겠다고 덧붙였다. 용인은 지금 경전철과 역북지구 개발사업에 무리한 투자를 해 엄청난 부채를 지고 재정난을 겪고 있다. 진퇴양난이다. 시 재정 상태가 좋아져 보조경기장과 주차장 등을 추가로 건립할 수 있게 되길 바라는 수밖에 없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