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가 추진하고 있는 광역급 종합장사시설에 대한 수원시민들의 반발이 크다. 특히 호매실 주민들은 장사시설과 불과 2㎞ 거리에 인접한 자신들을 무시한 채 화성시가 일방적으로 장사시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분노하고 있다. 화성시는 매송면 숙곡리 산12-5 등 90필지 36만4천㎡ 일대에 화장로 13기, 봉안시설 2만7천기, 자연장지 약 3만8천기, 장례식장 6실 규모의 종합장사시설 설립을 추진 중이다. 광명, 부천, 안산, 시흥시와 공동으로 하는 광역시설이다. 화장장과 봉안시설이 많이 부족한 현실에서 공동 장사시설은 괜찮은 발상이다.
비록 처음엔 10개 지자체가 참여하기로 했다가 안양·평택·군포·의왕·과천이 사업비 부담 등의 이유로 빠지고 화성·부천·안산·시흥·광명 등 5개시만 남았지만 공동으로 비용을 부담해 조성하는 이 시설에 기대가 컸다. 특히 화성시가 장사시설이 들어서는 숙곡리를 비롯한 매송면 주민에게 약 300억원 규모의 지원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무마됐다. 사실상 확정단계에 들어섰지만 문제는 다른 곳에서 터졌다. 바로 칠보산을 사이에 두고 2㎞ 거리에 위치한 수원시 서수원권 시민들이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2㎞는 사실 지척의 거리다. 따라서 서수원권 주민들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주민들은 장사시설 오염물질이 자신들의 건강과 환경을 위협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칠보산 인근에 사는 주민들은 이 지역이 물 좋고 공기 좋은 친환경지역이라며 주거환경에 만족감을 느낀다. 그런데 인근에 5개 지자체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광역급 대규모 장사시설이 들어서면 삶의 질이 곤두박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민들은 코앞에 화장터를 지으면서 행정구역이 다르기 때문에 수용할 필요가 없다는 꽉 막힌 행정은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사실 화성시는 이에 대한 치밀한 대비를 하지 못했다.
화성시는 화장시설로 인한 환경오염, 특히 대기오염은 법정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화장 분골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해명하지만 이번엔 지역 국회의원까지 나섰다. 정미경 국회의원은 남경필 지사에게 반대입장을 전했고 남 지사는 대안을 찾아보자고 답했다는 전언이다. 정 의원은 수원시도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지만 수원시로서는 자칫 한 문화권인 지자체끼리의 심각한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심스러운 입장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갈등이 더 깊어지기 전에 도나 중앙정부의 조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