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점들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연말정산문제로 인해 불거진 ‘재벌과 대기업 감세’ ‘서민증세’를 비롯해, 공무원·사학·군인연금 문제, 청년 취업, 노인 복지 등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겪고 있다. 특히 이번에 연말정산 논란으로 대기업·재벌·고액연봉자와 서민·중산층·직장인 사이의 갈등이 표면화 됐다. 이 정부가 서민과 중산층의 유리지갑만 턴다는 비난도 거세게 일고 있다.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지만 요즘 더 심각해지는 빈부격차, 양극화 문제가 새삼스럽게 우리사회의 논쟁이 되고 있다.
사실 이런 문제는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우리사회의 뇌관이다. 복잡하고도 다양한 이런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비영리 조직, 영리 기업 등이 각자의 영역에서 노력해야한다. 그러나 효율성과 경쟁만 내세우는 기존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으로는 한계가 있다. 성장의 혜택은 사회적 약자에게 골고루 분배되지 못한 채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돼 간다. ‘사회적 경제’는 일자리 창출, 지역 공동체 회복 등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운데 사회적 약자와 나눔의 기쁨을 얻는 방법이다. 이런 여러 문제의 ‘맞춤형 해결사’라고 할 수 있겠다. 사회적경제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사회서비스를 제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 재화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경기도가 올해 164억원을 들여 390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육성한다는 소식이다. 도는 이를 통해 2천200여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오는 27일 시·군 담당공무원, 사회적경제 기업인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경제 허브, 경기도 2015 추진사업 설명회’를 갖고 4대 추진전략 20대 중점과제의 세부사업 계획에 대한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도 관계자에 따르면 “도가 추구하는 사회적경제는 시장경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 경제로 지속가능한 호혜 경제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힌다.
이와 관련해 도는 이미 지난해 3월 사회적경제기업의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를 설립, 판로개척과 컨설팅 등을 지원해오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경제기업도 기업이다.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는 우선 경영의 노하우를 철저히 교육시키고 사회에 꼭 필요한 분야,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성장하도록 적극 지원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