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참 잘하고 있는 일 중의 하나는 누가 뭐래도 ‘경기도 연정(聯政)’이다. 후진성을 면치 못하는 이른 바 중앙정치권이 배워야 할 선진정치다. 경기도 연정은 우리나라 정치사의 새로운 변화다. 연정의 핵심은 바로 상생과 협력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훌륭한 가치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추천으로 이기우 전 의원이 사회통합부지사로 취임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는 남 지사의 연정이 현재 한국 정치사의 실험적 모델이 되고 있다. 남경필 지사는 지난해 6·4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새누리당 경기도지사 후보로서 “부지사를 포함한 주요 직책에 야당인사를 등용하겠다”는 공약을 냈다. 그때 대부분은 반신반의 했다.
그런데 남 지사가 당선돼 취임하고 나서 이 약속은 지켜졌다. 남 지사는 정말로 ‘사회통합부지사’직을 신설해 야당에 추천권을 주고, 도 산하 공공기관장 인선 시 인사청문회를 도입한 것이다. 그런데 남 지사처럼 야당의 협치를 추진했던 원희룡 제주도지사의 계획은 아직도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원 지사의 협치는 임명직인 제주시장을 야당에 주기로 하는 등 인물추천과 정책협의를 야당에 제안했으나 현재까지도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보며 우리는 연정에 동참한 새정치민주연합의 결정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남 지사의 연정실험은 계속되고 있다. 경기연정실행위원회(이하 연정위)가 연정위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하기로 지난 27일 합의한 것이다. 연정위는 2월 경기도의회 임시회에서 의원입법을 통해 ‘경기도 연정 실행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을 처리키로 했다. 이 조례가 통과되면 연정협치기구인 ‘연정위’를 도 조례 제정을 통해 설치하게 되고 지속적인 운영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 연정과 관련 제도적 장치가 생기는 것이다.
또 연정 실행을 위한 여야 연정협의기구 운영 지원과 함께 사회통합부지사 소관 실·국인 보건복지국, 환경국, 여성가족국 등에 대한 지원 업무를 맡는 연정협력관도 신설한다. 이 내용이 담긴 조직개편 세부(안)도 지난 19일부터 입법예고에 들어가 있는 상태다. 이렇게 되면 도 관계자의 말처럼 경기도 정치사, 지방 정치사, 나아가 대한민국 정치사에 새로운 시도인 연정이 드디어 본 틀을 갖추고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문제는 진정성이다. 정치적 환멸을 느끼게 하는 정쟁에서 벗어나 도민을 위해 서로 협력하겠다는 진심이 있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