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drone)은 애초 개발 목적이 군사용이었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에 사용된 무인기가 원조인 만큼 정찰과 정밀폭격 등 군사작전에 주로 이용됐다. 2000년대 테러와의 전쟁을 주도한 미국은 현재 7천여기의 각종 드론을 보유해 세계 최고다. 10년 전 50대 미만에 비교하면 괄목할 만한 증가다.
선진 각국의 경쟁도 뜨겁다. 그 결과 상상을 초월한 드론도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영국군은 길이 10㎝, 너비 2.5㎝, 무게 16g의 초소형 드론을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성능은 실시간 동영상이 전송될 정도로 특급이다. 현재 160대가 분쟁지역에서 활동 중이다.
군사용으로만 쓰이던 드론이 최근 상업용으로도 개발되면서 유통업계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아마존 구글 DHL과 UPS 등 세계적 물류기업은 물론 맥주회사까지 가세하고 있다.
군사용 못지 않게 상업용도 더 작고 똑똑해지고 있다. 손목에 차고 다니다 셀카로 활용할 수 있는 입는 드론도 나왔다. 롤스로이스는 드론과 연계한 무인 수송선을, 구글은 드론을 활용한 무선 인터넷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드론의 상업적 이용을 허용하고 있다. 허가된 업체는 24개며 촬영이나 수송, 안전검사 등을 목적으로 미 연방항공청에 허가를 신청한 기업만도 342개에 달한다. 수천만 원대에서 10만 원대 제품까지 쏟아지면서 판매도 급증하고 있다. 앞으로 10년간 시장규모가 90조 원을 넘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미국 시애틀 등 몇몇 도시에선 경찰이 드론 도입을 추진 중이다. 이를 놓고 사생활 침해 및 사법권 남용 논란도 만만치 않게 일고 있다. 사정이 이러하자 미국의 한 작은 도시에서는 드론이 나타나면 총으로 쏴버릴 수 있는 사냥 면허를 발급하는 웃지 못할 일도 벌어지고 있다.
엊그제는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인 알리바바가 도심에서 드론을 활용한 택배 서비스 시험에 성공했다고 한다. 특히 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 수천만명이 사는 대도시에서 라고 하는데 중국이 최초로 ‘드론 배달’을 현실화 시키는건 아닌지 모르겠다. 미국의 물류기업들도 최근 잇따라 드론 택배 시험을 했지만, 지금까지는 도심 외곽의 인적이 드문 곳에서만 해왔기 때문이다. 설을 앞두고 택배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우리나라는 과연 어느 수준일까 궁금하다.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택배기사들의 미래가 걱정이라는 우려와 함께.
/정준성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