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월드디자인시티(GWDC) 조성을 위한 1차 관문이 일단 통과했다.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이하 중도심)는 지난 19일 이를 위한 그린벨트 해제를 상정한 지 1년 5개월만에 무려 7차례의 심의 끝에 조건부로 통과시켰다. 중도위원들은 2시간이 넘는 난상토론을 벌였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조건이 달려있다. 행정자치부 중앙투융자심사를 거쳐 서울시와 환경 문제 등 협의 관계를 유지하고, 외국인투자지역 고시, 토지전매를 일정 기간 제한할 것 등이 선행돼야 한다. 아무리 조건부라지만 첫 관문을 통과한 것만으로도 구리시로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구리월드디자인시티는 지난 2007년부터 구리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형 사업이다. 그린벨트로 묶여 있고 인구 20만명에 불과한 서울주변의 작은 도시로서는 야심찬 프로젝트다. 지구촌을 여기저기 넘나들며 6조 원이라는 외자도 유치했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와 서울시의 반대에 부딪쳐 사업진행이 지지부진했다. 정부기관이 이제 첫 단추를 꿰준 셈이다. 이제부터 차근차근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들을 풀어나가야 한다. 투융자심의, 서울시와의 협의, 환경단체들의 요구사항 해결이 그것이다.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일 뿐 변변하게 특색도 없는 소도시 구리시가 한 단계 도약하느냐, 침체를 지속하느냐의 갈림 길이다. 그런 측면에서 구리월드디자인시티는 구리시가 제2의 한강의 기적을 꿈꾸며 기획한 프로젝트다. 10조원이 투입될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추진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사업이다. 맞춤형 고급 디자인 산업은 아시아 시장 규모만 약 300조 원에 달한다. 디자인시티가 궤도에 오르면 약 5만여 개의 일자리와 5조 원의 산업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건축 디자인ㆍ인테리어 분야의 해외기업 2천여 개를 유치해 ‘아시아의 디자인 허브’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박영순 구리시장의 말처럼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아직도 산적해 있다. 서울 인천시가 거론하는 환경문제라든지, 환경단체의 반대여론을 설득할 확실한 대안도 있어야 한다. 또한 월드디자인센터 조성을 빌미 삼아 주택공급을 늘리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현재의 경제상황에서 외자유치도 만만치는 않을 것이다. 구리시는 앞으로 이같은 문제들을 하나하나 차근차근하게 풀어나가야 한다. 정부도 이 참에 과감한 규제개혁 차원에서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조성에 적극적인 지원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