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학칼럼]우리 아이의 성장장애

 

새 학기가 되면 부모님이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우리 아이가 반에서 키가 얼마나 되나 하는 것입니다. 키가 큰 아이의 부모님들은 은근히 우쭐해지고 기분이 좋지만, 키도 작고 왜소한 아이의 부모님은 혹시나 우리아이가 기죽어 지내지 않을까 내심 걱정부터 하게 되어 병원을 찾기도 합니다.

실제 그런 아이들 중 일부는 성장장애를 동반한 다른 질병이 있거나 정말 병적으로 키가 작아 성인이 되었을 때의 예측키가 심각하게 작은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장이라는 것이 한 번의 키 측정으로 정상이다, 아니다 단정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성장은 아이들이 성장이 멈추는 시점까지 연속성을 가지고 관찰해야 하는 것입니다.

경제적으로 윤택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가면서 우리 아이들의 평균키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키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키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70%정도 됩니다.

사람의 키는 성인이 될 때까지 일정하게 자라는 것이 아니라, 그 시기별로 성장속도가 다른데 일생 중 키가 가장 많이 크는 시기는 생후 만 2세까지의 기간이며 그 다음은 사춘기 시기입니다. 생후 첫 해에는 25㎝가 자라고 그 다음해에는 12~13㎝가 자라며 그 후부터 사춘기가 될 때까지는 비교적 일정하게 일 년에 5~7㎝가 자라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장 성장이 빠른 이 영유아시기에 영양섭취가 부족하거나 만성질환이 있게 되면 충분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후에 따라잡기가 이루어 진다하여도 완전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런 예는 부당경량아(저체중출산아)에서도 해당되는데 어떠한 이유에서든 어머니의 자궁 내에서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평균보다 작게 태어난 아이들의 경우 일부에서는 성장부진이 지속되어 성인이 되어서도 작은 키를 가지게 됩니다.

제2의 급성장 시기는 사춘기로 이 시기에 1년에 8~10㎝의 키가 자라게 되는데 여아는 사춘기가 평균적으로 11~12세에 남아는 12~13세에 오게 됩니다. 이 시기는 급격한 성장과 신체변화가 오기 때문에 충분한 영양공급이 매우 중요하며, 남아는 만 17세 여아는 평균 만 14~15세 정도면 성장이 멈추며 성인키에 도달하게 되지만 이런 사춘기의 시작과 진행속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 어떤 이는 사춘기가 정상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나타나고(여아 만 8세 이전, 남아 만 9세 이전), 진행되어 성장이 조기에 멈추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를 성조숙증이라 하는데, 여아의 경우는 사춘기의 시작이 젖가슴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라 발견이 쉽지만 남아의 경우는 고환이 커지는 시점이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점이라 발견이 쉽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이밖에도 규칙적인 운동으로 성장판이 자극받을 수 있도록 하고 숙면으로 충분한 성장호르몬이 분비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성장장애가 동반된 여러 다른 질환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아이가 일년에 4~5㎝ 이하로 자라거나 또래 아이들과 비교해 키 작은 순서로 3번째 이하일 경우, 갑자기 성장속도가 감소하거나 사춘기가 시작되었는데도 계속 작거나 성장속도가 증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성장전문병원(소아내분비과)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