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피해자 가족협의회(이하 가족협의회)’가 배부하고 있는 ‘내 가족이 세월호 속에 있습니다’란 유인물에는 ‘유가족이 되고 싶습니다’란 호소문이 있어 읽는 이들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여기 유가족이 되는 게 소원인 사람들이 있습니다. 세상이 이렇게 가슴 아픈 소원이 또 있을까요?’ ‘1년이 다 되어 가는 지금 내 딸, 내 아들, 내 남편 내 가족이 아직도 차가운 바다 속에 있습니다. 세월호 안에 있습니다. 얼마나 무서웠을까요. 얼마나 추웠을까요. 내 가족이 그 끔찍한 곳에 언제까지 있어야 하나요(하략)’ 마지막 한사람까지 가족 품으로 돌아오길 바라는 가족들의 하소연이다.
분명히 얘기하지만 세월호 희생자나 그 가족들에게는 죄가 없다. 사망자나 실종자들의 잘못이 있다면 ‘가만히 있으라’는 선원의 말을 잘 들었을 뿐이다. 참사가 발생하자 대한민국은 거대한 초상집이 됐다. 모든 국민들이 애통해하고 분노했다.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이 참사를 불러왔다며 깊이 반성하고 재발방지를 다짐했다. 그런데 참사 발생 후 수개월이 지나면서 우리사회는 분열됐다. 애도 분위기는 어느덧 경제논리에 밀려나고 진상규명을 원하는 유가족이나 실종자 가족을 적대시하는 세력들이 생겨났다. 일베 회원들은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의 피눈물 나는 단식농성장에서 ‘폭식투쟁’이라는 비인간적이고 한심한 짓을 했다.
정부도 유가족이나 실종자 가족들의 눈물을 닦아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가족대책위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6일까지 416시간 동안 광화문광장에서 농성과 촛불집회, 청와대에 대한 항의 행동, 대국민 홍보 등을 할 예정이다. 가족협의회가 요구하는 것은 ‘세월호 진상규명 특별법 시행령(안)’ 철회와 선체 인양이다. 이들이 시행령안의 철회를 요구하는 것은 이 안이 특별조사위의 ‘반쪽짜리’조사권마저 무력화하고 독립성을 훼손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족협의회는 시행령이 특조위의 조사 권한을 정부 조사를 검증하는 수준으로 축소됐고, 위원장과 위원들의 위상도 약화시켜 공무원들이 특조위를 통제토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수사권과 기소권이 빠진 반쪽짜리 세월호 특별법의 조사권마저 정부가 무력화시키려 한다고 비판하면서 청와대의 개입도 의심한다. 정부는 진상을 반드시 규명해야 한다. 또 우리사회 역시 ‘유가족이 되고 싶다’는 단장(斷腸)의 호소를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