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과 사학연금 문제로 정부와 정치권, 공무원단체가 갑론을박을 거듭하고 있다. 대체적인 국민 여론은 개혁으로 가고 있다. 그러나 지각 있는 국민들은 개혁 하지 않으면 당장에 나라가 거덜 날 것처럼 정치적으로 조급하게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당사자인 공무원과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 정권이 공무원과 교사들을 죄인취급하며 국민들과 이간질 시킨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이 와중에도 연금을 더 줘도 아깝지 않다고 국민들이 옹호하는 공무원들이 있다. 바로 소방공무원들이다. 이들은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사랑을 가장 많이 받는다. 각종 위기상황에서 몸을 아끼지 않고 인명을 구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방관들의 근무환경은 열악하다. 인력 부족과 장비 노후화가 심각하다. 일부 소방관들은 사비를 들여 방화장갑 등을 사서 현장에 출동해야 했다. 따라서 지난해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소방공무원들이 1인 릴레이시위를 하고, 지방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을 위한 서명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에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선거에서 ‘안전한 경기도’를 내세우며 4천명 규모의 소방공무원 증원 계획을 공약한 바 있다. 그는 소방공무원 충원에 들어가는 약 2천400억원은 국비부담 확대와 도비 추가를 통해 부담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남 지사의 소방공무원 4천명 증원계획은 예산 등의 문제로 난관을 겪고 있다. 소요 재원 마련이 힘든데다 도내 소방학교에서 배출되는 잠재적 소방 인력도 연간 최대 500여명, 4년간 2천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증원 규모에 대한 축소가 불가피할 수밖에 없겠다. 그럼에도 경기도 소방공무원 충원문제는 시급하다. 경기개발연구원 조응래 선임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안전한 경기도: 골든타임 확보’ 보고서에 의하면 도 소방관 1명의 담당 주민 수는 2천20명이었다. 전국 평균 1천346명에 비해 1.5배 많아 전국 최고라고 밝힌다.(2012년 기준)
조 연구위원은 ‘도 인구는 전국에서 제일 많으나 소방공무원은 5천988명으로 서울시 6천461명에 비해 적다. 경기도 면적이 서울시에 비해 16.8배 넓은 점을 감안하면 양질의 소방서비스 제공을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5분내 출동 가능 면적이 23%에 불과하며 2013년 화재현장 도착시간은 7분48초나 걸렸다고 한다. 안전한 경기도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이 소방인력·장비의 확충이라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