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서 행복을 누려갈 수 있도록 하는 복지정책이 중요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윤택하고 안락한 생활을 위해 복지재정의 누수와 낭비를 근절시켜 가야한다. 재정 효율화 추진을 위해서 정보시스템을 통한 누수 차단, 부적정 수급 근절, 유사·중복 복지사업 정비, 재정절감 인프라 강화를 효율적이고 중점적으로 추진해가야 할 것이다. 제일 먼저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강화하여 불편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해 갈 수 있도록 해준다. 외로움과 무의미한 시간을 극복하여 이웃과 더불어 살면서 보람과 행복을 만끽해 갈 수 있는 생활이 되도록 노력해간다. 복지 대상자의 자격정보 연계와 관리를 강화해 부적격 대상자에 대한 급여 지급을 방지한다. 115조 원에 달하는 복지예산을 3조원 상당의 재정절감을 합리적인 복지정책으로 성공해야한다.
불필요한 사업과 중복적인 지원으로 복지재정을 낭비한 사례가 많다. 철저한 관리와 더불어 수혜자의 양심적인 태도가 요구된다. 복지 대상자의 자격정보를 연계하여 관리를 철저히 하여 부적격 대상자에 대한 급여 지급을 방지해간다. 부적정한 수급을 막기 위해서 부처별 집중조사를 실시하고 유관기간 간 협력을 강화해 가야한다. 중앙부처의 360개 복지사업 중 목적과 지원 내용 및 대상이 중복되거나 유사한 48개 사업은 통·폐합하며 운영방식 개편을 추진해 300여개 내외로 정비해간다. 1만여 개로 추정되는 지자체 자체 복지사업이 중앙부처 사업과 겹칠 경우 반드시 정비하여 조정해 가야된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1조8천억 원을 절감하고, 지자체 및 교육청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1조3천억 원을 절약해간다. 문제는 절실한 복지수급자가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파악해야 한다. 복지수급자들을 위축시키고 예비 범죄자화와 낙인화로 어려움을 겪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복지사각지대를 찾아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정 구현을 통해서 예산의 효율화를 이루어 가야한다. 활력과 생산성을 높여주는 미래지향적인 복지행정을 펼쳐 가야한다. 다양한 취약계층의 형편에 맞는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희망과 꿈을 심어주는 복지행정을 구현해 갈 때에 예산낭비를 줄이고 효율성을 증진시켜 갈 수 있다. 재정에 의한 복지해결에는 한계가 있고 엄청난 예산이 소요되므로 이웃공동체와 NG.O.등과 같은 사회봉사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간다. 다양한 복지영역의 한 부분을 해결해 갈 때에 예산을 감소하고 복지를 향상시켜 가게 된다. 고통 받는 사람들이 안위와 평화를 구현해가는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정책이 이루어지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