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학칼럼]비만의 새로운 적,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술을 마시지 않거나 소량 마실 뿐인데도 다른 원인 없이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처럼 간내 지방 침착을 보이는 질환으로, 간내 과도한 지방 축적만이 있는 단순 지방간에서부터 간세포 염증이 심화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atohepatitis, NASH) 및 간경변증에 이르는 질환군을 말합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서구에서는 약 20~30% 유병률을 보이면서 간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서도 16~33%의 유병률을 보고하였는데, 비만과 당뇨병이 증가하면서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임상경과로 간세포 손상이 없는 가벼운 지방간과 간세포 손상이 심하고 염증이 지속되는 지방간염, 일부 환자에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진행성 간경변증이 생기는 경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단순 지방간에서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에는 비만, 당뇨병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방간 자체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가끔 우상복부가 뻐근하거나 피로감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가장 흔히 알게 되는 경우는 간기능 혈액검사에서 간수치의 이상이나 복부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으로 판정 받는 것입니다. 특히 당뇨병이나 비만이 있는 사람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간기능 검사나 복부초음파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환자의 치료에서는 식이요법, 운동 등 생활습관의 개선과 이를 통한 체중 감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저칼로리의 식사와 운동량의 증가 같은 생활 패턴의 변화, 단순 지방간의 치료를 위해서는 3~5%의 체중 감량을, 지방간염의 치료를 위해서는 10% 가량의 체중 감량이 필요합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운동이 체중 감량에 직접 효과도 있지만 체중 변화 없이도 운동이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간효소를 호전시키며, 간의 지방 축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운동의 종류로는 걷기, 자전거타기 및 수영 등 유산소 전신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식이요법으로 지방과 탄수화물의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데, 특히 지방과 탄수화물의 전체 양보다는 종류가 더 중요합니다. 지방의 종류 중 참치, 꽁치, 고등어 등 생선에 많은 오메가-3가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가린, 쇼트닝, 마요네즈 소스, 케이크, 쿠키 및 수프 등에 많이 들어 있는 트랜스지방산의 과다 섭취가 간내 지방 축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올리브유, 견과류 등에 많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은 간의 지방농도를 감소시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 외 지방간과 관련된 인자들, 고지혈증, 당뇨, 관련 약제 등의 원인을 치료해야 됩니다. 불행하게도 효과적인 약물 요법은 아직 없으나 연구 중에 있으며 일부 간장제가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근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이 대두되고 있으며, 관련 질환인 비만과 당뇨병의 빈도가 증가하면서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