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0년까지 경기도내에 과학고와 외국어고등 특수목적고 16개가 신설되고, 수원 이의동과 판교, 김포, 파주 등에 자립형 사립고가 1개 이상 설립된다는 경기도의 교육혁신 지원계획에 대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가 공교육의 근간을 파괴한다며 설립계획의 전면 백지화와 공개대토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교조 경기지부는 12일 성명서를 내고 자립형 사립고는 수요자부담을 원칙으로 하는 시장원리에 입각한 것으로 '입시명문고'나 '귀족학교'를 양산, 사회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고, 학교재정확충을 교육수요자인 학부모에게 떠넘기는 것이라며 계획의 백지화를 요구했다.
전교조 경기지부는 또 특수목적고 역시 순수하게 외국어전문교육등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운영되는 것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현재 교육체제에서는 기존 특목고가 명문대 입학을 위한 명문고로 전락한 현실에서 결국 평준화 구도를 무너뜨리겠다는 편법적인 발상이라며 반대했다.
전교조는 특히 교육혁신 지원계획이 교육청이 아닌 도에서 나온것은 심각한 교육자치 침해라고 주장했다.
전교조 경기지부 관계자는 "교육문제에 대해 경기도교육청이 주도해서 계획을 수립,추진할 것이지 도의 협의 형태로 들러리나 서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도와 도교육청은 이 문제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표명해야 하고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특목고와 자사고 문제가 중심이 된 평준화 확대투쟁을 올해의 가장 핵심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범교육개혁공동대책위(가칭)'를 구성해 도의 교육자치침해문제는 물론 특목고.자사고 설립계획을 철회시키는데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