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인계동에 있는 한 병원에는 지난달 메르스 환자 D씨가 다녀갔다. 물론 당시엔 감염사실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D씨는 지난 5월 25일부터 28일까지 지병 치료차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했으며, 29일 오전 10시 46분, 30일에는 오전 9시 39분부터 각각 한 시간여 동안 이 병원 응급실에서 삼성서울병원에서 처방한 치료주사를 맞았다. 수원시 메르스비상대책본부는 이 병원의 메르스 감염 위험은 없다고 발표했다. “이 병원의 경우 질병관리본부로부터 해당병원 방문 당시 정상 체온으로 체크된 점과 접촉 의료진의 무증상(접촉일로부터 12일째)으로 보아 메르스 감염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역학조사 되었다고 통보받았고, 해당병원은 현재 외래진료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사실이 발표된 이후 이 병원이 받은 타격은 엄청났다. 우선 당시 입원환자의 40% 정도가 다른 병원으로 옮겼다. 또 일일 평균 350~400명 정도였던 내원객이 현재 80여명 정도로 대폭 감소했다. 이 병원 원장은 이 상태라면 병원 직원들의 다음 달치 급여 지급이 어려우며 최소한 3개월 정도 운영에 타격을 받을 것 같다고 한숨을 쉬었다. 이 병원 총괄팀장은 “우리 병원도 어려움이 많지만 확진환자가 많이 발생한 평택 성모병원의 경우는 1년간 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걱정했다.
병원에서 만난 원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 이 정부의 아마추어 같은 보건 행정을 질타했다. 그는 우선 열악한 공공의료 환경을 지적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공공병원은 기관수로 전체의 5%대에 불과하다고 한다. OECD 평균은 70%이며 미국은 27%다. 그런데 이 5% 속에 서울대병원을 위시한 국립대병원들까지 포함되어 있다. 민간의료기관들은 아무래도 수익창출을 중시하기 때문에 빈곤층 진료를 기피하는 것이 사실이며 이 몇곳 안 되는 공공의료기관들이 맡게 된다. 아울러 전염병이 돌거나, 재난시에도 역할을 떠맡게 된다.
이번에도 수원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이 우선적으로 환자 격리치료에 동원됐다. 따라서 빈곤층 등 일반 환자 진료가 힘든 실정이다.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이수진 위원장도 “현재 정부의 정책은 공공의료를 축소하고 민간에 그 역할을 떠넘겨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고위험성 전염병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며 공공의료 확충을 주장했다. 더 늦기 전에 정부는 의료인들의 경고와 조언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보다 더 심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