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경찰청의 신설문제가 다시 대두됐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최근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안에 경기북부경찰청이 꼭 신설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리경찰서장 재직 시절부터 기존 2청 체제의 불편함과 비효율을 느껴 경기 2청을 별도의 경찰청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치안총수가 현장에서 피부로 느낀 점을 피력한 것으로 주목된다.
현재 의정부에 있는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은 한강 이북 10개 시군의 치안을 담당하지만 수원에 있는 경기지방경찰청의 하부기관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인력 증원이나 지역 특성에 맞는 조직 운영 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경기북부지역 인구는 329만여명으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서울, 경기남부, 부산, 경남 다음인 5위권이다. 신도시 입주가 완료되면 서울, 경기남부에 이어 3위가 되지만 경찰 1인당 담당 인구는 634명으로 전국 1위다. 범죄 건수는 경기북부(10만5천154건)가 인천(9만4천276건)에 비해 1만여 건 더 많아 치안공백이 더 크다는 것을 방증해준다. 비무장지대 등 접경지역을 끼고 있어 남다른 지역 특성을 지니고 있다. 경기북부경찰청의 신설이 시급한 이유다.
신설의 당위성은 또 있다. 지난 2011년 12월 29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는 행정안전부의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을 제압하고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신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경찰법 개정안’이 의결됐다. 이듬해 2월 국회는 경찰법을 개정 공포해 경기도내에 지방경찰청 2곳을 둘 수 있는 법이 통과된 상태다. 법안을 통과해놓고도 전례가 없다는 이유로 시행하지 않는 것은 법을 무시하는 행위다. 경기북부지역 도의원협의회도 그동안 는 300만 경기북부 주민과 함께 북부경찰청을 신설해 달라고 여러 차례 호소해왔다. 그러나 이번 경찰총수의 소신과 경기북부 주민들의 바람이 올해 안에 이뤄져야 한다.
경기도 제2청사나 경기도교육청 제2청과는 상황이 다르다. 치안은 주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도 각종 이유를 들어 더 이상 반대해서는 안 된다. 국회에서조차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경찰청 신설의 시급성에 의견을 모은 마당에 어찌 남의 일로만 치부할 수 있는 건지 모르겠다. 인구급증 지역의 경찰서 신설도 함께 검토돼야 할 문제다. 또다시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않으려면 경기북부경찰청은 이번에 꼭 신설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