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지자체나 선거가 끝나고 새 인물이 당선되면 산하 공공기관의 장도 바뀌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하 기관이 생기거나 기존 기관자체의 통·폐합이 이뤄지는 경우도 많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경우도 도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을 위한 메스를 들었다. 그런데 공공기관 통폐합은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 이게 어려운 것은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도는 경기도의회의 반대로 경기도청소년수련원-경기평생교육진흥원 통합을 이루지 못했다.
조례안이 상임위원회는 통과됐지만 본회의에서 부결시킨 것이다. 앞서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파주영어마을 민간위탁 동의안을 제출했지만, 역시 도의회의 반대로 실패했다. 이에 싸우지 않는 정치, 서민을 위한 정치를 해보자는 남경필 경기지사의 제안으로 시작된 경기연합정치실행위원회가 나섰다. 사회통합부지사와 도의회 여·야 교섭단체 의원들로 구성된 경기도 연정 실행위원회(이하 연정위)는 지난 22일 도청 상황실에서 제8차 회의를 열고 공공기관 통폐합 문제를 합의했다. 연정위는 공공기관 통폐합은 외부 민간기관에 의뢰하기로 했다.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번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해서 내년 4월까지 통폐합 관련 조례도 제·개정키로 했다.
경기도 산하에는 26개 공공기관이 있는데 이 중 통폐합 대상으로 삼은 기관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복지재단, 경기평생교육진흥원, 경기청소년수련원,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문화의전당, 경기관광공사, 한국도자재단, 경기영어마을 등 9곳이다. 도는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경기복지재단을 경기가족여성복지재단, 경기평생교육진흥원-경기청소년수련원을 경기평생교육진흥원, 경기문화재단-경기도문화의전당을 경기문화재단, 경기관광공사와 한국도자재단을 경기관광·도자재단으로, 경기영어마을은 민간위탁 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통·폐합을 통해 인력 감축, 콘텐츠 상호 보완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사실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문화의전당의 경우 상당 부분 업무가 중복돼 행정 및 인력적 낭비를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두 기관이 통합될 경우 오산시 전체 공무원 수와 비슷한 500여명이 근무하는 기초자치단체급 산하기관이 탄생된다. 그러니만큼 통·폐합의 당위성은 인정하지만 신중하게, 효율성을 먼저 생각하는 통·폐합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