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 칸트는 행복과 관련해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을 행복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사람들은 각자 가치관이 다르고 어떤 상태를 행복한 상태로 보는지도 다르기 때문에 행복의 개념을 보편화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본 것이다. 이처럼 어려운 것이 행복의 정의(定義) 지만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목표 또한 행복임에는 틀림없다.
행복의 조건으로 항상 거론되는 것이 소득, 즉 물질과의 상관 관계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은 소득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치 않다. 물질이 행복의 척도는 아니지만 필수 조건이라는 것에 대해 모두가 공감하고 있어서다.
미국 경제조사국은 2년전 ‘행복과 소득, 둘 간의 포화점은 있는가’라는 보고서를 낸적이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상위 25개국의 소득별 국민 행복도를 분석한 결과 가구 소득과 행복은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소득이 낮으면 행복해지기 힘들다는 실증적 조사 이기도 하다.
반론도 만만찮다 대표적인게 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고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미국 경제 사학자 이스털린의 역설이다. 그는 1946년부터 빈곤국등 30개 국가의 행복도를 연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발견했는데 부탄 방글라데시와 같은 가난한 국가에서 오히려 국민의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난 것을 예로 들었다.
물론 국민 개개인을 보면 돈보다 명예나 다른 곳에서 행복을 찾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보면 국민소득이 늘어날수록 복지 수준과 행복감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대다수의 견해다.
행복지수는 이러한 행복의 척도를 재는 방법이다. 그리고 많은 학자들이 나름의 방법으로 행복지수를 측정, 발표하고 있다. 이렇게 발표되는 행복지수는 대부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주관적이다. 따라서 행복지수를 정책 판단의 도구로 활용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
그래서 그런가. 우리나라의 행복지수가 매년 추락, 올해 OECD국가중 최하위를 기록 했다고 한다. 소득은 높아지고 있는데 행복지수는 최하위 라고 하니 아이러니가 아닐수 없다.
/정준성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