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가 지난 23일 이재정 교육감을 만났다. 지사가 교육감을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1991년 지방교육자치제 실시 이전에는 경기도교육위원회가 합의제 집행기관으로 도지사가 당연직 의장이어서 교육감 선출문제나 예·결산 처리를 위한 회의 때는 도교육위원회를 찾았다. 그러나 공식 회의가 아님에도 지사가 교육청으로 교육감을 방문한 것은 손학규지사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었다. 배석자 없이 30여분 동안 두 기관의 협력 과제들을 논의했다고 한다. 25일에는 지사 집무실에서 지사, 교육감, 박수영 행정1부지사와 김원찬 제1부교육감이 만나 ‘2+2 협의회’를 갖고 원활한 교육협력사업 추진에 힘을 모으자고도 했다.
남 지사의 이같은 생각은 ‘교육 연정(聯政)’을 떠나 교육이야말로 미래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소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 8년 간 경기도와 교육청의 관계가 불편해지면서 자주 마찰을 빚어온 것을 보아온 데서도 기인한다. 경기도의 교육국 설치문제, 초등학교 전면 무상급식, 학교용지분담금의 전출문제 등등에서 두 기관은 많은 갈등을 빚어왔었다. 이면에는 진보 성향의 교육감 등장으로 더욱 심화됐다는 분석도 있었다. 그러나 남 지사는 교육발전을 위해서는 보수와 진보가 따로 없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 교육과 행정의 ‘연정(聯政)’ 역시 지난 해부터 강조해온 터다.
아무튼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2+2 협의회’를 정례화해 교육협력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나아가 남 지사와 이 교육감은 30일 오전 10시 도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도와 교육청 간 구체적인 교육협력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하기로 했다. 교육협력의 내용도 궁금한 일이지만 세간의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교육부와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사사건건 갈등을 빚고, 일부 시도는 무상급식지원을 중단해 교육청의 원성을 사고 있는 현실을 보면 더욱 그렇다.
지사와 교육감이 한 테이블에 마주 앉아 교육문제를 논하는 것은 요즘 보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지방자치가 일원화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교육자치가 독립돼있어 더 그렇다. 그러나 교육청은 자체 수입이 빈약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교육은 우리 주민들의 가장 관심있는 분야 중 하나다. 그런 의미에서 경기도와 교육청이 교육문제에 대해 상생하고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남 지사의 말처럼 도와 교육청은 형제나 부부처럼 한 가족, 한 몸이 돼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