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여러 차례 본란을 통해 경기북·동부지역에 대한 정부의 각별한 지원과 규제해제를 주장한 바 있다. 경기북·동부는 지난 63년 동안 희생됐던 지역이다. 주민들은 경제·생활·교육·문화 등 여러가지 면에서 큰 피해를 당해 오면서도 국가 안보를 위해 이를 묵묵히 감수해왔다. 동두천도 대표적인 희생지역 중의 하나다. 특히 미군부대가 집중돼 있어 그동안 ‘기지촌’이라는 불명예와 기반시설 부족에 따른 낙후된 생활을 감내하며 살아왔다. 같은 ‘수도권’이지만 안보와 환경 등 각종 규제가 심해 경기 남부지역과의 문화 경제적인 격차는 매우 크다.
그동안 본도를 비롯한 언론들과 주민들은 경기북부 지역에 대한 경기도나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과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누차 지적해왔지만 정부의 대처는 미온적이었다. 따라서 현재 이들 지역 주민의 불만은 극에 달해 있다. 지난 80년대 중반부터 경기북부 분도(分道)론이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불만에 기초하고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제라도 국가 안보를 위해 희생한 북·동부지역에 대한 국가차원의 실질적인 보상과 지원,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동두천시에 최대 99만㎡ 규모의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된다는 소식은 그래서 관심을 끈다. 동두천시에 의하면 상패동 일대에 들어서는 국가산업단지는 우선 33만㎡를 조성하고, 이후 99만㎡로 확대되는데 내년 하반기 토지 보상에 착수하고 오는 2017년에는 착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동두천시는 미2사단 병력의 잔류에 따라 지난해 말 국방부에 ▲동두천시 지원 정부대책기구 설치 ▲국가산업단지 조성 ▲반환공여지 정부 주도의 개발 ▲기반시설 및 주민편익시설 사업비 국비 지원 등을 요구한 바 있는데 이에 대한 응답인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동두천시의 기반시설 및 주민편익시설 사업과 관련, 각 부처별 2016년 20개사업 618억원을 반영할 예정이며 총사업비 약 4천억원은 연차별로 반영되도록 계속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는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환영한다. 이로 인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오세창 동두천시장 등 지역 주민들에게 축하의 인사를 보낸다. 아울러 동두천 국가산단 조성을 위해 정부 관계부처를 적극적으로 설득해 온 정성호 의원(양주 동두천·새정치민주연합)의 노고를 치하한다. 앞으로 동두천시를 비롯한 경기북·동부지역에 대한 통 큰 지원이 계속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