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주택’은 이제 사회생활에 첫발을 디딘 사회초년생과 신혼부부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이다. 박근혜 대툥령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반값 임대주택으로 원래 이름은 ‘희망주택’이었지만 박대통령의 국정 비전에 맞춰 행복주택이 됐다. 행복주택의 가장 큰 장점은 과거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는 임대주택과 달리 도심 내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12일 행복주택의 주 수요층인 대학생과 사회초년생들로 구성된 ‘행복주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자단 홈스(Homes)’의 행복주택 방문기를 정리해 공개했다. “위치상 좋다” “행복주택은 과거 임대주택과 달리 도심 내 위치한 것이 장점” “6년 동안 집주인 눈치를 보지 않고 마음 편히 거주할 수 있다니 행복주택은 정말 탐나는 집”이라는 것이 주된 반응이었다. 사실 전셋집 구하기가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인 요즘 대출을 더 받더라도 아예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그럴 형편이 안 되는 이들은 절망하고 있다. ‘행복주택’은 이런 계층에게 희망이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직장과 학교가 가깝거나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에 짓는 저렴한 임대료의 공공임대주택 행복주택의 인기가 좋을 수밖에 없다.
국토부는 오는 2017년까지 전국에 총 14만가구의 행복주택을 지을 예정이라고 밝힌다. 이런 행복주택의 인기는 이미 예상된 바 있는데 첫 입주모집부터 입주경쟁률이 엄청났다. 서울 송파 삼전, 서초 내곡, 구로 천왕, 강동 강일 등 4개 지구에 들어서는 행복주택 847가구에 8천800여명이 입주 신청을 했는데. 송파삼전 지구는 40가구 모집에 모두 3천208명이 신청해 80.2대 1의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고 한다. 기획자인 박근혜 정부로서는 ‘대박’을 터뜨렸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입주신청자에겐 감질 나는 물량으로 확대공급이 필요하다.
올해 경기도에서도 1만4천여호의 행복주택이 들어선다. 지난달 28일 국토교통부가 고양, 김포, 파주 등 도내 25개 지구에 행복주택 1만4천706 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힌 것이다. 경기도는 올해 아파트 전국 최대물량이 쏟아지는 지역이다. 그러나 아파트는 경제적 여력이 갖춰진 계층이 입주할 수 있다. 따라서 그렇지 않은 층에서의 행복주택 인기는 이어질 것이다. 행복주택은 젊은 계층에 80%, 노인·취약계층에 10%씩 배정된다. 젊은이들에게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것은 바른 정책이다. 앞으로는 경제적으로 더 취약한 노인들을 위한 주택도 확대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