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부터 농부들은 소가 더위에 지칠까봐 항상 노심초사 했다. 그래서 나온 속담이 ‘육칠월 더위에 암소 뿔이 빠진다’ ‘칠월 저녁 해에 황소 뿔이 녹는다’ 등이다. 더위와 관련된 속담은 이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삼복더위에 고깃국 먹은 사람 같다’는 이야기도 그 중 하나다. 더위에 지쳐 땀을 뻘뻘 흘리는 사람을 빗댄 말이다. 본격 더위가 시작된 요즘 현장 근로자들의 사정이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10호 태풍 린파가 지난 뒤 낮의 기온이 35도를 넘나들고 기상청은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덕분에 열대야가 시작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낮에 달궈진 도심의 열기가 밤이 돼도 잘 식지 않아 잠을 설치고 생체리듬이 깨지는 괴로운 시간이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더위 먹은 소 달만 봐도 허덕인다’는 속담처럼 한낮이 너무 뜨겁다 보니 밤에 달만 봐도 해를 보듯 놀라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열대야(트로피컬 나이트)라는 말은 트로피컬 데이에서 나왔다. 열대지방 낮 최고기온이 30℃ 이상인 한여름의 날씨를 ‘트로피컬 데이’라 부르는데 이곳의 밤 최저기온은 25℃ 이하로 내려가질 않는다. 이런 열대지역 밤 온도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기상청은 지난 2009년부터 열대야 기준을 재정립했다. 그전까지는 일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기준으로 했다. 그러던 것을 밤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열대야 날로 정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열대야가 발생하는 경우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하게 확장할 때다.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은 한낮에는 찜통더위를 가져온다. 밤에는 높은 습도가 복사냉각효과를 감소시켜 기온이 내려가지 않는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초열대야 현상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다. 이는 밤 최저기온이 30도 이상인 것을 말한다. 2013년 강원도 강릉에서 기록한 30.9℃가 그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선 기상관측 이래 단 한 번도 30도를 넘은 적이 없었다.
밤에도 기온이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체온 조절 중추신경계가 제대로 작동이 안 돼 각종 증후군이 발생한다는 열대야, 지금쯤 이를 극복할 비책을 마련해 두는 것도 여름을 나는 지혜 중 하나가 아닐까. /정준성 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