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경기도청 신청사를 복합개발방식으로 추진하겠다는 경기도의 로드맵이 발표됐다. 남경필 도지사와 강득구 도의회 의장도 참석한 이날 ‘경기도 신청사 건립사업 설명회’에는 당연히 광교주민들도 참석했다. 도는 올해 하반기에 조경공사를 먼저 착공하고 내년 하반기에 건물을 착공하겠다고 한다. 그것도 ‘빚 내지 않고 건립 재원을 마련하고, 광교 입주민이 바라는 대로 최대한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소통과 개방을 표방하며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을 추진 기조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도의 계획은 전체 행정타운 부지 12만㎡ 중 2만6천㎡를 복합개발하면서 발생하는 이익금 1천500억 원을 신청사 건립재원으로 확보한다는 것이다. 이 개발이익금과 청사매각대금, 공유재산매각대금, 손실보상금을 합쳐 총 5천600억원으로 짓겠다는 것인데, 복합시설 개발에 따라 6만㎡였던 도 신청사 건립부지는 3만3천㎡ 로 축소되고 건립비용도 당초 4천270억원에서 3천630억원으로 줄어들어 2천100억원의 여유가 생긴다고 한다. 그동안 심각한 재정위기 속에서 신청사 이전건립을 요구하는 주민시위 등 민원에 골머리를 앓아온 경기도의 입장에서 본다면 분명히 ‘묘수’라고 할 수 있겠다. 가장 큰 어려움이었던 재원확보 문제를 복합개발방식을 통해 해결해 재정 부담을 크게 줄였기 때문이다.
이로써 1995년부터 논의가 시작됐지만 1997년 IMF 위기로 중단,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지자체 재정 위기, 자치단체 호화청사 논란으로 또다시 좌초됐던 경기도신청사 건립에 청신호가 켜졌다. 신청사 복합개발 시설에는 초특급호텔, 면세점, 도내 사회적기업과 중소기업 대표상품 판매점, 도내 장인생산품 판매점, 도자기 판매장 등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로 인해 활력이 넘치는 소통의 공간이 될 것이라는 도의 장밋빛 계획에도 불구, 광교신도시총연합회와 광교신도시시민모임 주민들은 반대 목소리를 냈다.
경기도의 로드맵이 도청 이전 로드맵인지 기획부동산 업체의 기획인지 구분이 안 돼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복합개발 방식을 도입할 경우 심각한 교통 혼잡도 우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동 시행사인 경기도시공사와 용인시·수원시가 개발이익금을 사용하도록 협약을 맺은 바 있는데 이에 대한 사전 협의가 없었다고 한다. 경기도는 지금이라도 공동시행사는 물론 주민들과 머리를 맞대고 허심탄회한 논의를 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