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쁜 소식이다. 수원·화성·오산시 등 경기서남부권 주민들의 염원 중 하나가 해결될 수 있을 것 같다. ‘KTX 수원역 출발’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원·인천 고속철도 효율화 방안 연구용역’ 분석 결과 ‘KTX 수원역 출발’ 사업의 경제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용역 결과 1일 왕복 34회 운행시 이용객은 2020년 기준 하루 1만5천872명으로 예측됐으며 B/C(비용편익분석, 1.0 이상이면 경제성 있음)가 1.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KTX 수원역 출발사업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착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총 사업비 2천87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KTX 수원역 출발 사업은 기존의 경부선 일반철도 노선과 수서∼평택간 KTX 전용 고속철도 노선(2016년 개통 목표로 공사 진행 중)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KTX 열차는 수원역을 출발, KTX전용 노선을 타고 대전까지 간다. 수원~대전 구간이 기존 67분에서 23분이 단축되고, 수원~광주 구간은 195분에서 83분으로 무려 112분이나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는 수원 시민들이 KT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울역을 출발해 수원역을 경유하는 열차를 타야한다. 대전까지 KTX 전용 노선이 아닌 일반 경부선 철로를 이용해 속도가 느리다. 그나마도 하루 상·하행 4차례만 운행된다. 특히 수원에서 KTX를 이용해 광주에 가려면 새마을호를 타고 익산까지 간 뒤 익산에서 고속철도로 환승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 그러나 KTX 열차가 수원에서 출발하면 오송까지 KTX 고속철도로 이동한 뒤 오송에서 새로 개통한 호남고속철도를 이용해 광주송정까지 갈 수 있다.
지난 4월 호남KTX가 개통하면서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인구 120만명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 경기 서남부지역 450만 주민들이 광주에 가려면 여전히 일반열차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450만명에 달하는 경기서남부 지역민들을 그만큼 교통차별을 받고 있었던 것이다. 지난 2013년 수원역 이용객 규모는 4천607만명으로 전국 3위였다. 하지만 KTX 정차 횟수는 고작 왕복 4차례였다. 이번 용역결과가 나옴에 따라 경기도는 조기 착공을 위해 국회, 중앙부처 등과 협조를 요청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이 사업의 타당성이 이미 입증된 만큼 KTX 수원역 출발사업을 조속히 적극적으로 추진, 2018년까지 완공 할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