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이영숙칼럼]배려는 곧 리더십이다

 

1929년 하버드 윌리엄 하인리히(H. W. Heinrich)는 5만 건의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 크고 작은 사고들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대형 사고는 우연히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그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대형사고 1건이 발생할 때, 그전에 같은 이유로 작은 사고들이 29건 발생하고 사고가 날 뻔 하는 경우가 300건 정도 된다. 사소한 것들을 방치할 때 대형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이 바로 ‘하인리히 법칙’이다.

이 법칙은 사람과의 관계에도 적용된다. 무심코 스쳐 지나듯 저지르는 행동들이 나중에는 서운한 감정과 걷잡을 수 없이 큰 상처로 발전하여 관계의 벽을 만들기도 한다. 반대로 사소하게 베풀었던 작은 친절이 큰 행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직장에서 성공하는 리더십이 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일대일 배려를 통해 사전에 미세한 신호를 감지하고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 가정에서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자녀의 작은 행동도 섬세하게 관찰하고 대응해 주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배려이다.

배려란 무엇일까? 배려란, 나와 다른 사람 그리고 환경에 대하여 사랑과 관심을 갖고 잘 관찰하여 보살펴 주는 것(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다. 배려는 리더십이 되어 다른 사람에게 공감과 영향력을 끌어내기에 충분한 능력이 된다.

스타벅스의 CEO였던 짐 도널드는 아침마다 직원들에게 돌아가며 전화를 걸어 개인적인 안부를 확인한 것으로 유명하다. 전화를 받은 직원들은 “정말 대표님이 맞으세요?”라고 재차 확인할 정도로 짐 도널드의 배려와 관심에 놀라워했다.

도널드가 보여준 배려의 리더십은 매출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커피에 손이 뜨겁지 않도록 ‘슬리브’를 덧댐으로써 고객을 감동시키고, 이런 섬세한 배려와 관심이 모여 오늘의 스타벅스를 만들었다.

사람들은 “당신은 나에게 소중하고 특별한 사람이에요”라고 개별적인 인정과 관심을 보여주는 리더를 따른다. 성공한 리더들은 그들만의 특별한 비법이 있기 마련이다. 배려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들은 상대방이 어떤 고민을 갖고 있는지 늘 관찰한다. 어떤 부담이나 고민을 갖고 있는지, 자신이 도와주거나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은 없는지 잘 살핀다. 잠깐 스쳐 지날 때도 격려를 잊지 않는다. 기쁘게 인사하거나 등을 토닥이면서 관심을 표현한다.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배려를 실천하는 것이다. 일대일의 면담이나 소수로 진행하는 미팅을 통해 공감할 수 있는 시간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극대화한다.

배려의 리더십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매일 매일의 연습이 필요한데, 배려의 법칙을 연습해 보는 것은 어떨까? 거창할 것 같지만 아주 간단하고 소박한 방법이다. 위대한 것은 단순함과 소박함에서 나온다고 하지 않는가?

배려의 법칙이란,

“내가 만약 ______에게 _____ 해주면 기뻐하겠지?”라고 생각해 보는 것이다.

우리는 너무나 생각하지 않는다. 생각 없이 무심코 내뱉은 말이 돌이킬 수 없는 관계를 만들기도 하고 생각 없이 행동한 것이 큰 오해를 부르는 것을 우리는 경험적으로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실례들이 모여 나의 인생이 되는데도 자신의 무심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데만 익숙하다.

좋은 성품은 좋은 생각, 좋은 감정, 좋은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다. 생각은 행동이 되고, 행동이 반복되면 버릇이 되고, 버릇은 습관이 되어 결국 성품이 된다. 그리고 그 성품은 바로 나의 운명이 된다. 성품까지는 내가 만드는 것이지만, 성품은 운명이 되어 다시 나를 만든다. 그래서 좋은 성품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보여주는 작은 배려는 상대방에게 큰 힘이 되어 기억된다. 오늘 하루, 기쁜 마음으로 배우자와 자녀를 배려하는 행동을 선택해 보는 것은 어떨까? 나의 친절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기쁨이 될지 생각해 보고 잘 관찰하여 보살펴 주는 구체적인 행동이 바로 배려의 리더십으로 나타날 것이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