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상생과 협력이 화두가 된 지 오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갑과 을, 가진 자와 그렇지 않은 자들 간에 서로 돕고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자는 의미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 간의 상생협력 추진이 활발하다. 민선 지방자치단체 시대 이후 님비현상을 극복하고, 사업의 공동 추진을 통해 예산을 절감해 서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자는 취지에서 비롯되고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는 지난 4월 상생협력을 체결했다. 14개 분야 34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경기도와 강원도는 접경지대여서 닮은 부분이 많다.
그래서 DMZ 행사의 공동개최, 군사보호 규제지도 공동제작, 불합리한 군사시설규제 발굴 및 해제 건의, DMZ 야생동물 광견병 공동 백신살포 사업 등 접경지역에 관련한 사업들을 많이 했다. 이밖에도 한강~철원을 잇는 자전거길 미개설 구간 12.7㎞ 연결사업을 공동추진하고 있다. 경제분야 협력과 지역관광산업 활성화 및 농·특산물 판매 사업들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지방자치는 각 자치단체마다 갖고 있는 특성을 주민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개발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게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인접한 경기와 강원이 상생협력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는 것은 반갑고도 고무적인 일이다.
더욱이 경기와 강원은 수도권 규제와 같은 민감한 부분에서는 의견을 달리 하는 미묘한 관계다. 수시로 불거지는 사안에 부딪치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경기는 여당, 강원은 야당 소속 단체장이다. 그래서 당을 떠나 주민들의 복리증진을 위해 손을 잡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경기도는 지난 2005년 충남과 접도지역의 공동 경제권 형성을 위한 SOC(사회간접자본) 확충에 나선 적이 있다. 그러나 평택·당진항 분쟁으로 지지부진해졌다. 상생협력을 약속했던 수원시와 화성시도 최근 화성시에 들어서는 광역장사시설 문제로 소원해졌다.
이렇듯 지자체 간 협력은 언제든지 돌발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자칫하면 상생협력이 원점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서로의 인내가 필요한 이유다. 양해각서만을 체결한 채 단순한 협약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분명한 성과가 나타나야 한다. 조금씩 양보하면서 함께 추진력을 발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무리 취지가 좋고 타당성 있는 사업이라 해도 성과가 없으면 안 하니만 못하다. 경기와 강원은 도로 철도 수자원 관광 등 협력할 부분들이 수두룩하다. 차근차근 머리를 맞대 지자체 간 협력의 모델이 돼줄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