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닭은 울음소리로 여명을 노래 한다고 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성시 했다. 중국에선 태양을 불러내는 신비의 새라 여겼고 페르시아에서도 아침을 알린다며 빛의 심벌로 삼았다. 이런 상징성으로 인해 닭은 예부터 절대 신에게 바쳐지는 제물의 하나였다.

야생 닭이 언제부터 사육되었는지는 정확치 않으나 전문가들은 대략 6-7 세기경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도 비슷한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시조 설화등이 근거다. 우리의 닭은 맛과 영양, 외모에서 그 명성이 매우 높았다. 중국의 후한서에는 마한의 장미계(長尾鷄)는 꼬리가 5척이나 돼 아름답고, 맛 또한 좋다며 극찬한 기록이 있다. 특히 중국의 의학서인 초본류(草本類) 에는 약용으로선 백제 닭이 최고라 적고 있다.

닭고기는 타 육류에 비해 지방이 적고 소화도 잘된다고 해서 보양 음식재료로 많이 사용됐다. 찜, 적, 탕등 종류도 다양하다. 어린 닭의 뱃속에 여러 가지 고명과 향신료를 채우고 백숙한 후 기름을 넣고 다시 삶아 낸 ‘연계찜’을 비롯 궁중의 잔치 기록에 나오는 ‘승기아탕(勝只雅湯)’도 그것중 하나다. 규합총서에는 ‘승기악탕(勝妓樂湯)’이라 적은 이 음식은 ‘노래나 기생보다 좋은 탕’이라는 뜻의 이름이니 맛과 영양이 얼마나 좋은지 상상이 간다.

닭을 반으로 갈라 새우젓으로 간을 한 후 고기를 슴슴하게 삶아 익힌 ‘도리탕(桃李湯)’도 있다. 평양의 명물로서 지금의 닭도리탕과는 전혀 다르다. 이밖에 흰깨를 갈아 넣고 끓인 ‘임자수탕(깻국탕)’, 궁중 닭국 ‘초교탕’, 거두절미(去頭切尾)하고 제사에 쓰는 ‘봉적(鳳炙)’, 통으로 쪄서 혼례후 시부모에게 처음으로 올리는 ‘폐백닭’, 어린 닭의 살을 발라 매콤하게 끓인 ‘연계탕’등도 있다. 모두가 중요한 날이나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자식이나 노모가 병들어 허약할 때 주로 해 먹었다.

그러나 닭요리의 백미는 뭐니 뭐니 해도 전 국민의 사랑을 받는 보양식 ‘삼계탕’이 아닌가 싶다. 별도의 설명이 필요 없는 한국을 대표하는 한류 음식중 하나 여서다. 이런 삼계탕이 13억 중국 식탁에 오를 전망이라고 한다. 2006년 수입 허용 요청 이후 9년만이다. 중국인 입맛도 사로잡길 기대 한다./정준성 주필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