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립무용단 창작무용극
13~14일 道문화의전당 공연
경기도립무용단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의 삶을 재조명한 창작무용극 ‘황녀, 이덕혜’를 오는 13일과 14일 경기도문화의전당 대극장에서 선보인다.
고종황제가 지극히 사랑하던 고명딸 덕혜옹주. 1912년부터 1989년까지 조선 최후의 황족 덕수궁의 꽃이라 불렸지만 태어난 순간부터 철저히 정치적 희생자로 살며 대한제국의 운명과 함께한 그녀의 삶이 무대에 담긴다.
1920년대 아직 일본의 손길이 닿지 않은 유일한 왕족으로 조선 민중에게 희망적인 존재였던 덕혜. 이를 경계한 일본은 그녀에게 기모노를 입혔고, 아버지를 독살한 나라에서 차디찬 십대 시절을 보내게 했다.
연이은 어머니의 죽음, 원하지 않은 정략결혼, 10년 이상의 정신병원 감금생활, 딸의 자살 그리고 조국과 일본의 외면을 오롯이 감당해야만 했던 그녀의 비극적 삶이 도립무용단의 깊은 호흡이 담긴 발 디딤과 처연한 손끝으로 다시 쓰여진다.
공연은 ‘나비떨잠’, ‘눈물꽃’, ‘비극적 만남’, ‘깊은 못’, ‘나비 그림자’, ‘나를 아시오?’ 등 덕혜옹주의 삶을 따라가듯 이어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 몰입도를 높인다.
더불어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덕혜의 심리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고자 최지혜, 최은아, 박지유 등 3명이 덕혜를 소화한다.
영민하고 우아한 기품을 지닌 아이에서부터 일본의 억압에 침묵 속에 자신을 가두며 세상과의 끈을 놓아버린 노년의 덕혜까지 내면의 변화에 따라 섬세하게 달라지는 움직임을 감상할 수 있다.
극 후반 현실과 환영이 대비되는 극적 표현 또한 놓칠 수 없는 명장면이다. 이들의 움직임은 정중동(靜中動)이라는 한국 춤의 원류에 뿌리를 두고 현대적 감수성을 품은 새로운 몸짓을 펼쳐 보인다.
음악 역시 근현대를 오가는 작품의 시대적 배경에 따라 바이올린, 첼로, 바순 등 서양의 선율 악기와 북, 장구 등 동양의 타악 장단을 결합해 신문물이 흡수되는 새로운 시대의 분위기를 적절하게 담아낸다.
김정학 경기도립극단 예술감독은 “덕혜옹주를 다룬 이번 작품은 역사적으로 의미가 클 뿐 아니라 한국 춤의 미학을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더불어 다변화하는 무대, 고증을 거친 의상 등 다양한 볼거리를 통해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13일(금) 오후 7시30분, 14일(토) 오후 5시. VIP석 4만원, R석 3만원, S석 2만원.
/민경화기자 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