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성남의료원 공사 중단 해법 찾아라

공공의료원의 중요성은 지난 메르스 사태 때 검증된 바 있다. 특히 경기도립의료원 수원병원은 메르스 발병 이후 2억여원을 긴급 투입해 기존 9개이던 음압병실을 32개로 23개나 늘렸다. 이 때문에 메르스 환자 치료에 집중할 수 있었고 의료진의 헌신적인 노력에 감동한 주민들의 응원도 이어져 수원병원 맞은편 울타리 등에는 의료진을 격려하는 초록색과 노란색 리본 수천 개가 걸리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만성적자 의료기관이라는 비판의 시각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홍준표 경남지사다. 그는 ‘만성적자’를 이유로 주민들의 반대 여론에도 불구, 진주의료원 폐업을 강행했다. 경기도립의료원도 누적 적자가 크다. 수원병원 등 산하 6개 병원의 누적 적자는 지난해 말 기준 239억원이나 된다. 따라서 국회 국정감사와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항상 경영부실을 지적당한다. 그러나 지난번 메르스 사태 이후 공공의료원을 바라보는 시선은 많이 바뀌었다.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는 경제적 논리 보다는 국가적 규모의 감염병 등에 대처하는 ‘착한 적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성남시립의료원도 이런 국민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공사를 시작했다. 사업비 1천900여억원이 투입되는 이 의료원은 연면적 8만1천여㎡에 지하 4층, 지상 9층 규모로 22개 진료과와 43개 진료실, 501병상 규모다. 2017년 7월 준공을 목표로 현재 지반굴착공사가 60% 가량 진행된 상태다. 그런데 이 공사가 난관에 부딪혔다. 공사과정에서 발파작업 등으로 인근 건물에 균열과 지반 침하가 일어났다며 주민들이 시공사인 ㈜삼환기업, 유광토건을 상대로 낸 공사금지가처분 신청이 법원에 받아들여져 일부 공정이 중단된 것이다.

주민들은 공사가 시작된 이후 진동과 소음 피해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성남시와 공사업체에 여러 번 요구했지만 이를 묵살하고 공사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이에 공공의료성남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주민들이 제기한 민원을 신속히 해결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공사를 재개하라고 시행사에 촉구했다(본보 4일자 9면). 시민행동의 주장대로 법적다툼이 일어나기 전에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충분한 소통을 했어야 했다. 지금이라도 주민들과의 성의 있는 대화를 통해 주민피해를 방지하는 등 책임있는 조치를 해 조속히 공사가 재개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성남 시립의료원은 성남시민, 특히 서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공공의료시설이기 때문이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