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독립유공자 미지정 후손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지난 6일 독립운동가 김노적·염석주 선생의 후손을 만나 애로사항을 경청한 뒤 유공자 지정 지원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는 것이다(본보 9일자 2면). 수원시도 ‘독립운동가 발굴 및 현창사업’을 통해 독립운동 유공자를 발굴하고 자료를 국가보훈처 심사 자료로 제공, 독립운동가들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받도록 돕고 있다.
지난 8월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국일보-한국리서치가 함께 독립운동가와 후손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실태 설문조사 결과는 의식 있는 이들을 민망스럽게 했다. ‘대한민국의 수준이 아직도 이 정도 밖에 되지 않나’하는 한숨마저 나온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은 사실이었다. 아니 가난은 4대까지 대물림되고 있었다. 독립유공자 가족들의 월 개인 소득을 분석한 결과 200만원 미만이 전체의 75.2%였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43.0%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20.9%, 심지어 50만원 미만도 10.3%나 됐다. 개인 총 재산 역시 5천만원 미만이 28.3%로 가장 많았다.
가난은 학력 저하 현상도 동반했다. 고졸 25.7%, 중졸 12.8%, 무학 4.7% 순이었다. 이와 관련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은 지난 8월 한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1945년 해방직후부터 보훈정책이 실시가 돼서 독립유공자들과 후손들에 대한 지원이 실시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해방 후 17년간 국가는 이들을 철저히 외면했다. 방국장은 이 17년은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교육을 받아야 될 아주 중요한 시기인데 그렇게 하지 못하니까, 직업선택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가난의 쳇바퀴에서 헤어나지 못했다고 분석한다.
1962년도에나 보훈정책이라는 것이 실시되는데 독립유공자들은 군인, 경찰, 월남귀순자, 베트남참전용사 등과 동급으로 대우 받다가 1996년에야 독립유공자만 별도로 예우한 법이 제정된다. 하지만 지금도 독립운동가 관련 예산은 보훈처 예산의 2%가 안된다. 우리 국민과 국가가 이들에게 큰 빚을 지고 있음에도 말이다. 더욱 딱한 것은 김노적·염석주 선생과 같은 독립유공자 미지정 후손들이다. 독립운동 공적은 확인되나 아직까지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해 그나마 지원도 없다. 나라를 위한 희생자들의 후손은 마땅히 국가가 앞장서 챙겨야 한다. 그래야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이들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