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400만원 넘는 호화 수학여행, 정부 규제 필요

봄과 가을철은 중·고등학교의 수학여행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계절이다. 비록 지난해 세월호 참사로 인해 수학여행이 전면 중단되거나 학교 인근 지역 체험학습으로 전환되기도 했지만 올해 가을부터 다시 활발하게 재개되고 있다. 학창시절 추억 중에서 평생 동안 남는 일을 꼽으라면 상위를 차지하는 것이 고등학교 수학여행이다. 그래서 수학여행은 어쩌면 필수 과정일 수도 있다. 수학여행이 바람직한 것은 올바른 학교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입시위주가 아닌 인성과 창의력을 계발하는 교육, 경쟁보다는 협력·상생을 위한 교육, 다른 사람도 배려할 줄 아는 이타적 심성을 키우는 교육, 그리고 사회성 함양 등이 올바른 교육의 목표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오늘의 학교교육은 교육목적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학교’하면 ‘입시·경쟁’이라는 말이 먼저 떠오르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왕따, 교내 폭력 등도 사회문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수학여행은 이런 교육 현실의 숨통 역할을 해준다. 여행기간 중 스승과 제자, 학우들과 경험을 공유하고 격의 없이 열린 대화를 하면서 한층 성숙해진다.

그런데 이 수학여행에도 빈부의 차이가 존재한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금수저’와 ‘흙수저’의 차이다. 가정경제가 어려운 탓에 수학여행 경비를 마련하지 못해서 가지 못하는 흙수저 학생이 있는가 하면 수백만원이나 들여 외국으로 떠나는 금수저 학생들도 있다. 최근 교육부의 ‘전국 고교 수학여행 실시 현황’에 따르면 대전동신과학고는 올해 1학기 1인당 경비가 무려 448만원, 충북과학고 303만원, 한민고 297만원이었다. 이어 인천진산과학고 289만원, 부산과학고 283만원 등 상위 10개학교의 1인당 평균경비는 246만원이었다. 그러나 하위 10개 학교의 1인당 평균 경비는 4만2천원에 불과, 무려 58배의 차이를 보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빈부차이는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나이 어리고 감수성이 예민한 학생들이 이로 인해 느끼게 될 상실감은 크다. 그리고 교육적 차원에서 절대로 적절하지 않다. 거듭 말하지만 교육의 목적은 입시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지식도 전수하지만 세상 사람들과 조화를 이룰 줄 알고 창조의 능력을 갖춘 전인적(全人的) 인간 육성이 근본적 목표인 것이다. 부탁한다. 교육의 목적을 아는 교육자, 학부모들이라면 위화감을 주는 호화 수학여행은 자제해주길 바란다.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규제도 필요하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