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안전처의 세종시 이전과 함께 해경본부도 인천 송도에서 세종시로 이전시키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시와 시의회, 시민사회단체는 ‘해상 치안 전담기관인 해경본부가 바다를 떠나 내륙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은 현장을 도외시하는 위험한 행보’라고 일제히 반발하고 있다. 그러면서 해양경비안전본부의 세종시 이전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인천광역시의회 여·야 의원들과 해양경비안전본부 인천존치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1일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연데 이어 지난 4일부터는 인천시의원들이 국회 앞에서 해양경비안전본부 세종시 이전 반대 1인 릴레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시의회 의원들이 1인 릴레이 시위까지 강행하게 된 것은 정부의 해경본부 이전에 대해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 심판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자치부가 이를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와 시의회, 시민들은 분노를 감추지 않으면서 해경본부 인천존치를 위해 강력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힌다. 그리고 이들의 주장은 충분히 공감이 간다. 왜냐하면 인천은 우리나라의 하늘과 바다를 여는 국제 교통의 관문이자 북방한계선(NLL)을 경계로 북한과 최단거리에 대치하고 있는 접경지역이기 때문이다. 또 인접한 NLL주변에서 중국어선 불법 조업이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중국 어선들은 날이 갈수록 집단화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흉기를 사용하는 폭력도 마다하지 않는다. 해경본부의 역할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기다. 인천시민들은 해양주권 수호와 국민의 안전, 국가 안보, 수도 방어를 위해 반드시 인천에 존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해양경찰은 지난 1979년 인천으로 전진 배치돼 대한민국의 관문을 지켜왔다. 특히 열악한 환경의 서해 어민을 보호해왔다. 불법 조업을 일삼는 중국 어선을 강력하게 단속하기 위해서, 위태로운 북방한계선(NLL)의 안보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해양사고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해경본부를 해양 도시인 인천에 존치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시의회는 얼마 전 ‘해양경비안전본부 인천존치 촉구를 위한 이전반대 결의안’을 채택하고 국무총리실, 국민안전처, 국회, 행정자치부 등에 전달하기도 했다. 앞으로 중앙정부가 해경본부이전을 철회할 때까지 인천시의원 전원이 무기한 1인 릴레이 시위를 벌이겠다고 밝힌다. 바다에 있어야 할 배가 물을 떠나 산으로 올라가는 것은 절대로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