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취약계층의 복지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일선지자체의 각별한 지원행정이 절실하다. 정부는 이를 위해서 매년 읍·면·동 인적안전망 강화를 평가하여 수상자를 선정을 한다. 보건복지부는 복지 분야 5개 부문에서 수상자로 선정돼 기관표창과 포상금 9천만 원을 지원하였다. 경기도는 올해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평가한 5개 분야에서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분야별로는 읍·면·동 인적안전망 강화, 희망복지지원단 운영, 신설과 변경제도 사전협의 및 이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행복e음 핵심요원 활성화사업은 최우수자로 평가받아 선정 되었다. 의료급여사업 우수사례 공모사업도 우수자로 평가받았다. 이는 다른 시·도에 비해 수준 높은 복지행정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음을 보여준 결과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1천250만 명·24.3%, 이중 외국인수 37만 명 32.4%이며, 행정구역은 31개 시·군13.7%인 읍면동 554개 15.8%, 도농복합 12개·21%이다. 공무원 1인당 주민 수 261.9명으로 전국 평균 173명보다 매우 열악한 조건에서 얻은 값진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읍면동 인적안전망 강화 부문에서는 다양한 복지사각지대 발굴사업을 통해 4만2천618가구의 9만264명에 총 339억8천300만원의 긴급복지 지원을 한 것이 높게 평가받았다. 희망복지지원단 운영은 통합 사례관리 교육과 컨설팅을 진행하고, 도 자체사업인 무한 돌봄 센터 민간사례관리사 지원 및 네트워크 팀 운영에 90여억 원을 지원하였다. 신설과 변경되는 사회보장제도의 사전협의 및 이행부분에서는 무한 돌봄 사업 변경관련 사전협의 이행 노력이 모범사례로 뽑혔다.
의료급여 우수사례로는 의료급여수급자 3천명 이상 시·군에 의료급여 관리사1명을 충원하여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3억7천여 만 원을 절감하였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인 행복e음은 핵심요원 활성화부문에서 전국 지자체에서 가장 많은 핵심요원 56명과 마스터요원 5명 위촉 및 중앙과 지자체 간 의사소통 창구 역할 이행 등을 인정받았다. 취약계층에 부족한 정보제공의 의미와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평가에 있어 복지재정효율화와 전달체계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상한 것은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경기도 특성을 반영하였다. 합리적이고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 마련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경기도만의 사회복지 정책 발전에 중지를 모아가길 바란다. 격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한 철저한 대응책마련에 최선을 다해가야 한다. 추운 동절기를 맞아서 취약계층에 대한 각별한 지원노력이 절실하다. 도민들의 참여와 행정당국의 선도적 역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