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 진출한 유통 대기업들은 무수하다. 본사는 서울에 두고 있으면서 이들이 벌어가는 돈은 천문학적 숫자에 이른다. 그러나 이들 유통 대기업들은 상생약속을 외면한 채 지방자치단체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포시 지역의 예를 보더라도 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현대프리미엄 홈플러스 이마트 등 4개 대형마트 가운데 올해 지역을 위해 기부한 금액은 ‘0’라고 한다. 고촌 현대프리미엄도 지난 2년 전 허가진행 당시 2년 간 1억원씩을 불우이웃에 기부했을 뿐 올해는 전혀 없다. 이마트 홈플러스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김포시가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이들 대형 마트 4곳에서 엄청난 수익을 얻으면서도 공익사업에 기여한 것은 수익 대비 0.01~0.03% 수준이라고 한다. 지역 제품 구매율도 5%대 미만이다. 유통 대기업이 지역에 진출할 당시에는 다양한 상생프로그램을 제시했지만 지역 기여도는 갈수록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골목상권이 무너지고 지역경제 발전에 마이너스 요인이 되고 있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강력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대기업들의 얄팍한 상술을 언제까지 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유통 대기업들이 지역주민들로부터 막대한 수익을 챙기고 있으면서도 지역발전을 위한 일에는 ‘나 몰라라’하는 태도는 실망 수준을 넘어선 지 오래다. 돈벌이에만 급급한 대기업들은 이러다가는 시민들의 철저한 외면을 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소비주체인 시민들도 이제 지역과의 상생을 외면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철저한 응징에 나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 이상 대기업의 횡포를 두고만 본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아무리 경제활동에서 개방과 경쟁은 거스를 수 없다고는 하지만 그것도 신뢰와 약속이행에서만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대기업들은 직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에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무기로 ‘땅 짚고 헤엄치기’식의 경쟁을 통해 ‘싹쓸이’를 해 가는 대기업은 지금이라도 각성해야 한다. 이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수익의 지역 환원 조항’을 구속력 있게 다시 제정할 필요도 있다. 이와함께 상위법인 ‘유통산업발전법’이나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등을 개정해 대형점포의 지역 환원 조항을 강제하는 방안도 신중하게 검토할 일이다. 나아가 국회에서도 대규모 유통점의 현지법인화를 법제화해 지방세수를 확대해주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