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서 하루 평균 41명이 암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한다. 경기도민 사망원인 1위로서 도내 전체 사망자 가운데 29%나 차지한다. 충격적이다. 이는 경기도가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의한 것이다. 지난 2014년 도내 총 사망자수는 5만1천425명이었는데 이 중 29%인 1만4천910명이 암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사망원인 2위는 심장질환으로서 4천873명(9.5%), 이어 뇌혈관질환이 4천652명(9.0%)이었다. 암 질환과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3대 질환으로 꼽힌다. 이 3대 질환 사망자수는 전체 사망원인의 47.5%나 된다.
2014년 도내 교통사고 사망자가 885명(부상자 7만3천347명)으로 하루 평균 2.4명인 것과 비교하면 매일 도민 41명이 암 질환으로 숨지는 현실은 거의 전면 전쟁이나 재앙의 수준이라고 할 수 있겠다. 통계청은 지난 2014년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남자의 암 발병율이 세 명 중 한명 꼴이라고 했다. 여성은 비율이 좀 낮아서 네 명 중 한명이었다. 암 발생률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므로 머지않아 두 명 중 한 명꼴로 암이 발생할 수도 있다. 물론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암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다지만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은 암이다.
건강하던 젊은 사람도 갑자기 암이 발병 확산돼 세상을 떠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최첨단 의료기술이라곤 하나 암으로 인해 죽음에 이를 확률이 매우 높으며 진단과 치료에 들어가는 비용이 엄청나다. 최근 ‘암 안 생기는 힐링 영양요법’이란 책을 펴낸 내과 전문의 장석원 씨에 의하면 ‘늙고 병들거나 손상된 세포는 반드시 예정대로 자살을 해야 한다. 정상적인 세포 자살이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대혼란에 빠진 상태가 암이며, 죽음을 거부한 세포가 암세포’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소식, 저지방식, 현미 잡곡밥, 과일·채소, 알카리물, 적당한 운동을 권한다.
경기도 담당자는 이번 분석 자료를 정책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한다. 경기도는 암질환 극복을 도 정책의 가장 윗자리로 놓아도 될 것이다. 경기도가 암환자를 직접 치료해주거나 치료비용을 모두 내 줄 수는 없겠지만 도차원에서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예방교육을 시키거나 암질환 발생 환경을 일부 조성할 수는 있을 것이다. 또 저소득층을 위한 암검진 예산을 배정할 수도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중요하지만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는 암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가 최선의 노력을 다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