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 연지어촌계와 대청도주민자치위원회,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인천 시민단체는 18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해5도 여객선에 대한 지원을 재개하라고 촉구했다. 서해5도 여객선 지원은 ‘서해5도 방문의 해 사업’과 관련, 인천을 제외한 타 시·도민이 서해5도서를 1박 이상 관광하는 경우 여객선 정상요금의 50%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인천시와 옹진군은 지난 2013년부터 작년까지 각각 7억 원씩 부담해 타 시·도 관광객의 여객운임을 지원했다. 50% 할인요금 가운데 시비와 군비가 35%를 차지했고, 여객선사가 15%를 부담했다.
당연히 성과가 좋았다. 인천∼백령도 간 여객선 편도요금은 약 6만5천원이다. 김포~제주 간 저가항공사 비행기요금보다 비싼 금액이다. 인천~백령도보다 훨씬 거리가 먼 서울∼부산간 KTX 요금(5만8천800)원보다 비싸다. 이런 상황에서 50%나 할인한 배를 운행하니 서해5도 관광객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할인요금 시행 첫해인 2013년 서해5도 방문자는 2만6천여 명, 2014년 3만2천350여 명, 2015년 3만2천여 명이나 됐다. 그동안 서해5도는 여객선 운임이 만만치 않아 방문이 망설여졌다. 여기에 더해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 2014년 세월호 사건이 터지면서 서해5도 관광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이런 형편에서 여객선 요금 할인은 서해5도 관광의 숨통을 터주는 역할을 했다. 그런데 올해부터 인천시가 뱃삯 지원을 중단했다. 옹진군은 자체 수입만으로는 공무원의 월급조차 주기 힘든 열악한 재정형편임에도 불구,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여객운임 지원금 7억 원을 편성했다. 서해5도 활성화를 위해서다. 그럼에도 인천시는 재정난을 이유로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옹진군이 전액 부담하라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이 사업은 중단될 수밖에 없다.
서해5도 주민들은 “뱃삯 지원을 중단하면 섬 방문객이 감소한다”면서 이는 선사의 경영난을 초래하고, 섬 주민들의 교통 불편, 생존권 위협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주민들은 민선 6기 주요 정책사업에 인천의 관광자원인 섬 가치를 재창조해 활성화한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정작 이를 진작 시킬 수단인 뱃삯 지원을 중단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비판한다. 이 사업이 중단돼선 안된다. 시민단체들의 주장처럼 당장 인천시의 예비비 지원이 어렵다면 옹진군 예산으로 먼저 지원하고 1회 추경으로 시비를 부담하는 등 슬기롭게 해결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