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이 지난달 29일 낸 성명을 두고 지역 사회가 시끄럽다. 새누리당 시의원들은 ‘염태영 수원시장은 국토부 시절 비리 의혹으로 징계를 받자 스스로 옷을 벗은 인물에 대한 부시장 임명을 철회하고 시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수원시가 신임 부시장을 선임하기 위해 비위공직자의 취업제한을 명시한 관련법률 조항을 삭제한 내용의 임용공고문을 냈다는 말까지 돌고 있다’ ‘청렴도시 수원의 120만 시민과 3천여 공직자의 명예에 먹칠을 한 것’이라고 공격했다.
이에 수원시가 발끈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시는 ‘전형적인 흠집 내기이자 총선을 겨냥한 정치공세를 중단하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시는 기본적인 사실 확인도 없이 일방적으로 도태호 수원시 제2부시장을 비리인물로 규정하고 임명을 철회하라는 새누리당 시의원들의 주장에 ‘도 제2부시장은 경징계 처분 뒤 후배들을 위해 스스로 용퇴했고, 정부의 인사검증을 통해 작년 7월부터 정부 출연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민생안정에 주력하고 있는 수원시정에 대한 근거 없는 정치공세를 당장 그만두라’고 촉구했다. 특히 임용 전 법제처와 경기도, 경찰서 등의 비위면직과 신원조회 실시 결과 해당사항이 없다고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비위공직자의 취업제한’ 규정에 위배된다는 주장은 기본적인 사실관계 확인조차 하지 않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는 것이다.
여론도 ‘도 넘은 정치공세’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을 보이고 있다. 시의회 새누리당은 수습에 나섰지만 해명과정에서 일부 세력의 배후설과 압력설까지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에 시의회 새누리당은 사실관계 확인 등 논란이 커지자 한발 물러섰다.(본보 1일자 18면) 시의회 심상호 새누리 대표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토부에 직접 확인한 것은 아니고, 언론에 나와 뒤늦게 알게 된 내용”(도 제2부시장 비위) “사실관계는 확인하지 않았고, 일부 언론 등에서 그런 설이 있다는 것”(임용공고문 조작의혹 제기 주장)이라며 사실 확인과 관련, 논란을 자초한 부분을 인정했다.
시의원은 공인이다. ‘아니면 말고…’ 식의 책임 없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 해당의원들은 허위사실 유포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 지방의회는 지역발전을 위해 지혜를 모으는 것이 우선이지 않은가? 이래서 지자체장과 지방의원들의 정당공천 폐지 필요성이 선거 때마다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