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는 수도권규제를 받고 있는데다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이는 등 중복규제로 시름하고 있다. 경기도 전체 면적의 42.9%(4천266㎢)나 되지만 이 가운데 북한과 철조망을 맞대고 있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또한 44%(1천893㎢)다. 또 전국 180㎢에 달하는 미군 반환공여지 가운데 80.5%인 145㎢도 경기북부에 몰려있다. 뿐만 아니라 국토 균형발전을 명분으로 지난 1982년 수도권정비계획법이 제정된 이후 지금까지 무려 30여 년간 엄청난 불이익을 받아왔다. 대학조차 건립할 수 없었으며 대규모 개발 사업을 할 수 없었다.
이처럼 오랜 세월에 걸친 중복 규제로 자족기능이 저하되고 낙후지역으로 전락했다. 당연히 도로나 산업 기반도 경기남부지역에 비해 열악한 상태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수도권 규제로 투자시기를 놓친 경제적 손실이 3조3천억원에 달했다고 하는데 대표적인 곳이 경기북부지역인 것이다. 중복규제와 인프라 부족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경기북부 주민들에게 그나마 좋은 소식이 전해졌다. 연천군 연천읍 통현리, 은대리 일원에 59만5천579㎡(18만평) 규모의 산업단지가 조성된다는 것이다.
축구장 면적의 80배가 넘는 크기로 2016년까지 산업단지지정을 받아 2017년 상반기에 착공할 계획이다. 2019년 산업단지 조성이 완료되면, 약 60개 기업을 유치해 1천500여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남경필 경기도지사-김규선 연천군수-최금식 경기도시공사장-박병찬 연천군기업인협의회장이 2일 ‘연천산업단지 조성’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는 오는 2019년까지 4년 동안 약 1천15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연천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인데 산단 조성공사는 경기도시공사와 연천군이 공동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도는 제반 행정절차를 신속히 처리해주고 국.도비 등을 지원하게 된다.
앞으로 도는 양주(100만㎡), 포천(33만㎡), 동두천(33만㎡)지역에도 산단을 조성할 계획을 갖고 있다. 현재 경기도내에는 모두 179개소의 산단이 있다. 이중 경기북부지역에 29%인 52개 산단이 있다고는 하지만 면적대비로는 6.8%에 불과한 현실이다. 도의 경기북부지역 산업단지 공급계획안에 따른 연천 산단 조성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길 바란다. 남지사가 근로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신개념 산업단지를 공급하겠다고 자신한 만큼 모든 산단의 모범이 되도록 조성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