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의 폐쇄에 따른 중소기업들의 종합지원 대책이 절실하다. 11년간 유지되어온 개성공단 철수로 커다란 피해를 보는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총체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직접 피해를 입은 입주기업 이외에 협력업체와 원청업체까지 피해를 신속하게 지원해주는 일이 우선이다. 기업의 도산과 부도는 물론 축소운영 되는 피해를 극복해 가도록 해주어야한다. 경기도가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구제대책 범위를 확대해준다. 정부차원의 미흡한 부분에 대해 지자체 차원에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해 개성공단 입주기업뿐 아니라 협력업체 등 영세기업에 대한 피해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도는 개성공단 입주기업 원청업체들과 간담회를 통해서 당면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 가야할 것이다. 현재 123개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연결된 협력업체는 전국 약 5천여 개에 이른다. 도는 지난 13~14일부터 도 기업지원전담반을 구성하고 입주기업은 물론 관련된 협력업체에 대해서도 실태를 파악 중에 있다. 경기도는 정부와 비슷한 수준의 대책보다 차별화된 대책을 종합적으로 내놓기 위해 실태파악을 한다.
구제 사각지대에 놓인 영업기업의 피해 대책도 설계 작업에 들어간다. 영업 기업은 입주 생산기업에 건설과 유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업체로 90여개 개성공단 영업기업 중 도내 업체는 21곳으로 파악된다. 도에서 다른 지역과 달리 입주기업의 협력업체와 영업기업 부분까지 세심하게 배려해주어 다행이다. 지금 입주기업들은 정부와 도의 지원이 모두 절실한 상황이다.
지원이 시급한 기업들의 상황을 파악해 정부와 도에서 빨리 지원해주어야 위기를 극복해갈 수 있다. 도차원에서 실질적 보상과 자금운영 지원, 실업급여와 재취업 지원, 개성공단과 유사한 생산 환경 지원, 거래처 이탈에 대한 지원, 시설투자비 지원을 신속히 처리해주어야 한다. 경제적위기 상황을 업주와 당국이 지혜를 모아 대처해 가야 할 때이다. 글로벌 경쟁력이 준수한 업체에 대한 진취적인 종합대책을 세워야한다. 제3세계 진출을 위한 정부의 획기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
새로운 기술개발과 해외시장확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한계를 정부차원에서 지원하여 극복해 가도록 해준다. 기술과 자금을 비롯해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기업운영체계를 확립해 가도록 지원한다. 이제는 중소기업도 저렴한 생산비의존도를 벗어나 새로운 경영혁신과 진취적인 기술개발이 우선이다. 소비자를 충족시켜갈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개발과 판매확충을 위한 혁신경영이 시급하다.